우리나라가 15년 만에 ‘공교육비 민간부담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오이시디) 1위’ 자리를 벗어났다. 올해는 칠레에 이어 2위인데, 여전히 민간의 공교육비 부담이 오이시디 평균에 비해 세배가량 높았다.
교육부는 24일 ‘2015년 오이시디 교육지표’ 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34개 오이시디 회원국과 12개 비회원국 등 46개국의 2012~2014년 기준 통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6.7%로 오이시디 평균(5.3%)보다 1.4%포인트 높았다. 공교육비는 초·중·고 및 고등교육과 교육행정기관에서 사용된 교육비를 모두 더한 금액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부담 공교육비 비율은 4.7%로 오이시디 평균(4.7%)과 같은 수준이지만, 민간부담 비율은2.0%로 오이시디 평균(0.7%)에 비해 상당히 높다. 민간부담 공교육비 비율은 칠레가 2.2%로 1위를 차지했고, 한국에 이어 미국(1.7%) 일본(1.5%) 뉴질랜드(1.5%) 순이었다.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노르웨이·스위스는 0.0%(민간부담률이 0%는 아니고, 소수 둘째자리인데 생략된 수치), 핀란드와 독일은 0.1%였다.
이밖에 우리나라는 과밀학급 등 학습환경이 여전히 오이시디 평균에 비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가 24.0명, 중학교는 32.8명으로 오이시디 평균보다 각각 2.8명, 9.2명 많았다. 고교는 이 부문 OECD 통계가 없다.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7.3명, 중학교 17.5명, 고등학교 15.1명으로 OECD 평균보다 각각 2.1명, 4.1명, 1.8명 많았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