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공식 배부일에 앞서, 만점이 아닌데도 만점자가 배출됐다고 ‘언론플레이’를 한 비수도권 지역 사립고 등이 교육당국의 조사를 받게 됐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에 수능 성적표 공식 배부일 하루 전인 지난 1일 학생들의 성적을 언론에 공개한 고교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하라는 공문을 보냈다고 7일 밝혔다. 위반 정도가 심각할 경우 해당 학교에 경고 등 조처를 할 계획이다.
충북 지역의 한 고교는 지난 1일 언론사 기자들한테 해당 학교 학생이 수능 만점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능 성적표 배부 전날 미리 학교 쪽에 성적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행을 이용한 것이다. 지역에서 수재로 이름을 알렸던 이 학생의 만점 사실이 몇몇 언론을 통해 전해졌고, 학교 역시 덩달아 유명세를 탔다. 교육부 확인 결과 이 학생은 제2외국어(한문)에서 한 문제를 틀린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학교간 경쟁이 심한 비평준화 지역의 사립고를 중심으로 매년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보고 조사에 착수했다. 만점도 아닌데 만점인 것처럼 흘려 학교 인지도를 높이는 데 활용해 ‘죄질’이 나쁘다는 판단이다. 현재 교육부는 공식적으로 수능 만점자에 대한 발표를 하지 않는다.
교육부 관계자는 “2일에 수능성적을 공식발표해야 한다는 룰을 깬데다 사실이 아닌 내용을 언론플레이에 활용한 거라 그냥 넘어갈 수가 없다”며 “일단 주의를 촉구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재발 방지를 위한 조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논란이 된 학교 쪽은 억울한 측면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 학교 교장은 <한겨레>에 “통상 인문계열은 국·영·수와 사탐, 자연계열은 국·영·수와 과탐을 다 맞으면 만점으로 본다”며 “교육청에서 만점자가 배출됐다는 소문이 듣고 찾아온 몇몇 기자들한테 확인을 해줬을 뿐이고 기자들도 성적표를 본 뒤 기사를 썼다”고 해명했다. 이어 “우리 학교는 입시 성적이 좋고 경쟁률이 워낙 높아 굳이 거짓말로 언론플레이를 해가며 홍보를 해야 할 이유도 없다”고 덧붙였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