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11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파업 당시 서울의 한 초등학교 모습. 텅빈 급식대가 덩그러니 놓여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서울의 한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조리사로 일하는 이아무개(52)씨는 아침 7시에 출근해 조리원 3명과 함께 전교생 600명분의 점심식사를 만든다. 5~6가지 반찬을 가공식품 대신 수제품으로 만들기에 업무강도는 높은 편이다. 이씨는 “같은 교육공무직(학교비정규직)이라도 교무실에서 근무하는 이들은 학생들이 ‘선생님'이라 부르지만, 우리는 그냥 ‘급식실 아줌마'다”며 “영영사가 어떤 식단을 짜느냐에 따라 업무부담도 차원이 다르다”고 말했다. 방학이 되면 급식실이 문을 닫으며 월급이 끊긴다. 대전 봉산초등학교의 부실급식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오며 논란이 되는 가운데, 학교 급식실에서 일하는 조리사 및 조리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급식실의 노동 여건이 급식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인 것이다.
2003년 이후 전국 1만1698곳의 초·중·고교가 전면 학교 급식을 하며 영양교사 및 영양사 9975명, 조리사 1만여명, 조리원 5만2624명이 급식 업무에 종사 중이다. 하지만 처우가 제각각인데다 직무 구분은 애매해, 현장에서 갈등이나 혼선을 빚기도 한다. 식단 작성과 급식실 관리를 맡는 영양교사는 초중등 교육법 및 학교급식법에 따라 정식 교원으로 고용돼있지만, 같은 업무를 하는 영양사는 입직경로에 따라 정식 교원이 아닌 교육공무직(비정규직)으로 갈린다. 직접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사 및 조리원은 비정규직(교육공무직)이며 식품위생법에 따라 일한다. 조리사가 영양교사 및 영양사로부터 식단을 안내받아 조리원들과 함께 음식 만드는 일을 책임진다. 배식실무사는 배식시간에만 시간제로 일한다. 서울시교육청이 파악하고 있는 서울 내 조리사 및 조리원 5000여명의 평균 연봉은 1900여만원(노조집계 1600만원)으로 이들은 매년 인상되는 정규직의 임금테이블에서 제외되고, 방학 중에는 임금이 나오지 않는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현재 조리사 조리원들의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단식농성 중이다. 지난달 23∼24일엔 이들의 파업으로 97개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되기도 했었다. 이윤재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정책국장은 “급식 종사자들의 처우나 근무환경이 개선된다면 급식의 질도 향상될 것”이라며 “학교의 중요 안건을 다루는 학교운영위원회에 급식 담당자들을 참여하게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