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교 성교육 자료 보완 및 표준안 운용실태 연구’ 공청회
기독자유당 비례대표 출신 등 ‘성소수자 편견’ 인사 등 토론자참석
기독자유당 비례대표 출신 등 ‘성소수자 편견’ 인사 등 토론자참석
교육부가 성교육 표준안 공청회를 열며 평소 성소수자에 대해 차별적이거나 균형잡히지 않은 관점을 견지하던 인사들을 토론자로 초청해 논란이 되고 있다.
교육부는 15일 오후 서울 은평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학교 성교육 자료 보완 및 표준안 운용실태 연구 결과’ 공청회를 열고 올해 2학기부터 각급 학교에 배포될 성교육 표준안에 대해 연구 발표와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청회 안내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학교 성교육 자료와 표준안의 검토 결과를 공유하고 학교 성교육 자료의 보완을 위해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자는 목적이다. 공청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소속 연구원 등이 발표자로 참여해 성교육표준안의 운용실태와 제언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어 열리는 토론회에 참석하는 토론자 6명 중 3명이 기독자유당 비례대표, 성소수자 차별단체의 교재 집필자, 성교육 표준안 집필자 등으로 구성돼 토론자 선정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토론자 중에는 김지연 한국성과학연구협회 교육국장도 포함됐다. 김 교육국장은 지난해 ‘동성애 반대’라는 구호를 내세운 기독자유당의 비례대표 3번으로 20대 총선에 출마했다. 또한 김 교육국장이 소속된 한국성과학연구협회는 동성애에 대한 차별적 시각이 담긴 자료와 교재를 생산하고 있다. 이 단체 누리집을 보면, ‘동성애는 비정상적인 성행태인가, YES!’ 등의 게시물을 연구자료로 게재하며 “보통 사람들의 상식과 정서에 상처를 입히는…잘못된 성을 치유하는 일을 한다”고 단체를 소개하고 있다. 공청회의 또다른 토론자인 박세나 서울성모병원 촉탁의는 이 단체가 자체 개발한 청소년 성교육 교재 <성·사랑·가정>의 저자다. 이규은 동서울대 교수(교육학)는 교육부의 성교육 표준안 주요 집필자다. 여성단체 및 성소수자단체들은 교육부의 성교육 표준안을 만드는 데 배제되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교육부의 성교육 표준안은 성폭력의 대처법으로 "이성과 단둘이 있지 않는다" 등 시대적 상황에 걸맞지 않는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동성애에 대해서는 지도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지난해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121개소 등이 '성평등교육안 제정을 위한 시민연대’를 결성해 "교육부의 성교육은 절제가 아닌 '금욕'을 바탕으로 하며, 성 정보교육으로만 흐르고 있다. 성소수자에 대한 인권과 다양성을 담으라"며 성명서를 내고 비판한 바 있다. 청소년성교육기관에 재직하는 한 전문가는 “토론자 선정에 있어 극단적 성소수자 혐오단체의 인사보다 아동청소년 분야나 성교육 전문가,학교 현장에서 이 표준안을 가르치는 대표성 있는 교사들을 모셔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김지연 한국성과학연구협회 교육국장이 등장하는 영상(4분17초부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