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십 여 명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바비엥에서 예정된 ‘화해·치유재단 출범 이사장 기자간담회'를 앞두고 간담회장을 기습적으로 점거해 12.28 한일합의 무효를 주장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이들은 곧 경찰에 의해 연행됐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28일 공식 발족한 ‘화해·치유재단’의 김태현 재단 이사장(성신여대 명예교수)은 출범 첫날 기자회견부터 곤욕을 치러야 했다.
이날 오전 재단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중구 순화동의 바비엥Ⅱ에는 대학생 시위대 10여명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외면한 재단설립에 반대한다”며 회견장을 기습 점거하면서, 기자회견 시작이 30분 이상 늦어지는 등 차질을 빚었다.
경찰이 대학생들을 건물 바깥으로 끌어낸 뒤에야 가까스로 시작된 기자회견에서, 김 이 사장은 “생존해계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 40명 중 37명을 직접 만났다”며 “할머니들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합의가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닐 수 있지만 많은 분들이 재단 설립을 지지해주셨다. ‘내가 살아있을 때 합의해줘서 고맙다’ ‘합의가 성에 차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가 나름대로 역할을 했다’ 등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향후 재단의 사업 내용에 대해 피해자들이 원하는 바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피해 할머니들의 의견을 들어보니, 지원 받고자 하는 바가 다양했다. 주거지원금을 원하는 분, 자녀에게 주고 싶은 분, 나라에 장학금으로 기부 등 당사자가 원하는 바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본으로부터 받기로 한 10억엔(108억여원)의 용처에 대해서도 오로지 피해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사용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김 이사장은 “10엔을 장학사업에 쓴다는 보도는 와전된 것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사실이 아니다. 재단 사업의 목적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이지 장학금은 아니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 논란이 됐던 정관 비공개 문제에 대해서도, 김 이사장은 “곧 재단 누리집을 만들고 정관을 확실히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을 주관한 여성가족부가 서둘러 회견을 마치려 하자, 한 매체 기자는 “질문을 다섯개밖에 안 받느냐”고 거세게 항의하기도 했다. 이날 시위는 기습 점거로 끝나지 않았다. 기자회견을 마치고 건물을 나서던 김 이사장 등은 한 남성이 쏜 캡사이신을 얼굴에 맞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