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사교육 경험, `부익부 빈익빈' 현상
한국청소년개발원 조사결과, "성적엔 영향 없어"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가정은 월 평균 사교육비로 26만7천원을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중학교 2학년의 81.6%가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국무총리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청소년개발원이 지난 2003년 전국 중학교 2학년과 학부모 3천449명을 대상으로 사교육 현황을 조사, 올해 분석을 완료한 `청소년의 생활실태' 자료에서 밝혀졌다.
사교육 실태에 대해 국책연구기관이 3천명 이상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한 자료가 공개되기는 처음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은 2008년까지 매년 이들 학생과 학부모를 상대로 추적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자료에 따르면 중학교 2학년의 사교육 수강 시간은 일주일 평균 11.23시간으로 나타났다.
반 성적을 상, 중, 하로 나눠 분석한 결과, 성적이 하인 학생들중 65.1%, 중인 학생들중 86.4%, 상인 학생들중 92.0%가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사교육을 받는 빈도가 높았다.
또한 학생의 아버지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 64.4%, 고졸 79.6%, 전문대졸 83.9%, 대졸 88.9%, 대학원 이상 93.6%가 사교육을 받아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학생들이 사교육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가구별 소득별로는 100만원 이하 62.3%, 101만-200만원 75.9%, 201만-300만원 86.7%, 301만-400만원 89.9%, 401만-500만원 93.5%, 501만 이상 92.8%가 사교육을 받아 사교육도 `부익부 빈익빈'이란 사실이 실증적으로 증명됐다.
한국청소년개발원 조혜영 부연구위원은 1일 "이번 조사에서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시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학생들의 학업성적 향상에는 학교수업 참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개인공부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전승현 기자 shchon@yna.co.kr (광주=연합뉴스)
한국청소년개발원 조혜영 부연구위원은 1일 "이번 조사에서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시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학생들의 학업성적 향상에는 학교수업 참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개인공부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전승현 기자 shchon@yna.co.kr (광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