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 “내주 중단 결정해달라” 요구에
이준식 부총리 “모든 가능성 검토중”
학부모들 “새 학기 준비에 불안” 비판
이준식 부총리 “모든 가능성 검토중”
학부모들 “새 학기 준비에 불안” 비판
국정교과서를 하루빨리 폐기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지만, 교육부는 국정교과서 학교현장 적용 여부의 ‘연내 결정’ 방침을 밝혔다. 7일 이준식 교육부 장관과 국회 더민주 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별위원회는 국정교과서 관련 긴급협의를 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특위 위원들은 “(국정화 강행시) 학교현장의 혼란이 심각하게 초래될 것으로 우려된다. 탄핵 표결일(9일) 다음 주중으로 교육부가 국정화 중단 입장을 결정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이 부총리는 “내주 중에 정책 변경 발표는 어렵다”며 “12월 안에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공개할 당시 “의견수렴을 한 뒤 12월23일 국정교과서의 현장 적용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장 적용방안 결정이 늦어지는 데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23일까지 의견수렴 기간을 갖고 검토하겠다는 뜻이었지, 꼭 그날(23일) 적용 방안을 발표하겠다는 건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오는 3월 학교 현장의 혼란이 초래되지 않도록 교육부는 국정교과서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국민들이 납득할 수준의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당장 새 학기 역사과목의 교육과정을 짜야 한다. 학교의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으려면 탄핵이 결정되는 이번 주를 계기로 국정교과서를 철회할 것을 교육부장관에게 공식 요구한다”고 밝혔다. 조 교육감은 “만약 교육부가 이를 거부하면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공조해 각종 캠페인, 홍보활동, 서명운동, 국회에 이준식 교육부 장관 해임 건의 등 비상행동을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교육부의 애초 국정화 일정은 중·고교 국정교과서의 최종본을 1월 말께 확정해 2월 한 달 간 인쇄 및 배포를 마친다는 것이다. 교육부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은 “2월 한 달 간 인쇄 및 배포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그렇게 일정을 잡은 것”이라며 “3월 초 학교현장에 무리없이 배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배경희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사무처장은 “연말이 되면 아이들은 다음 학년을 준비해야 하는데 역사과목을 배우는지, 어떤 교과서로 배우는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들과 학부모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 때문에 혼란스러운데, 교과서마저도 확정 안 되어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