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학교도 안정적 급식 공급하도록
‘서울형 적정 무상급식비 지원 정책’ 계속
‘서울형 적정 무상급식비 지원 정책’ 계속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무상급식 예산으로 지난해보다 26억원 늘어난 2892억원을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에 비해 대상 학생수는 감소했지만, 급식의 질을 높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조리종사자들의 임금 현실화 등을 위해 증액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2016년부터 ‘서울형 적정 무상급식비 지원 정책’을 실시했다. 학교 규모(급식인원 수)에 따라 적정 무상급식비 단가를 5개 구간으로 정해 소규모학교에 다소 높은 예산을 차등 지원하는 정책이다. 소규모 학교에서도 원활한 급식 운영이 가능하도록 급식인원 수가 300명 이하인 학교는 급식인원 수 1101명 이상인 학교에 비해 초등학교 400여원, 중학교 800여원 단가를 높게 책정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올해 초등학교 적정 무상급식비 단가는 급식인원 수에 따른 5개 구간에서 3215원∼3605원으로 지난해보다 45원∼185원 늘었났다. 중학교는 5개 구간에서 155원~350원 증가한 4515원~5300원 수준이다. 평균적인 급식인원수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01명∼800명 구간의 단가는 3255원으로 지난해보다 65원 인상된 수치다. 중학교 501명∼800명 구간의 단가는 4730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10원 늘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11월 정책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학교 규모별로 급식비 차등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97.4%, 중학교 97.2%로 높게 나타났다.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서울형 적정 무상급식비 정책’을 안착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