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국립대 총장 1순위 후보자들이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검사무실 앞에서 고발장을 접수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총장 임용과정에서 국정농단을 일으킨 비선실세의 개입 여부를 밝혀 달라며 특검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연합뉴스
국립대 총장 임명에 청와대 비선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총장 1순위 후보였으나 임명되지 못한 8명의 교수들이 특검에 고발장을 접수했다.
김사열 경북대 교수 등 8개 국립대의 총장 1순위 후보자 8명이 모인 국립대자율성확립대책위원회는 18일 “지난 3년간 전국 11개 대학에서 발생한 총장 공석상태와 2순위 후보자 임명 12건에 대해 청와대 비선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있다. 이를 특검이 엄정 수사해달라”며 특검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벌였다. 이 대책위원회에는 경상대, 경북대, 충남대, 공주대, 한국방송통신대, 한국해양대, 전주교대, 순천대에서 각각 총장 1순위 후보로 뽑혔던 8명의 교수들이 모여있다. 이들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래 교육부와 청와대는 11개 국립대 총장 후보자에게 정당한 사유없이 총장임용을 거부해 대학 자율성을 침해하고 정상적 운영을 방해했다. 이 과정에 최순실 등 청와대 비선실세가 부당하게 개입한 의혹이 있다”며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이병기 전 청와대 비서실장, 우병우 전 민정수석을 직권남용 및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특검에 고발했다.
이들은 교육부의 임명제청 거부로 총장 공석상태가 발생한 5개 대학(공주대, 방송통신대, 전주교대, 광주교대, 경북대), 1순위 후보자에 대해 거부 사유를 밝히지 않고 2순위 후보자 총장을 임명한 5개 대학(순천대, 충남대, 경상대, 한국해양대, 경북대), 교육부의 입장과 반대되는 직선제 총장을 임용한 부산대, 5차례 총장 선거를 거듭한 한국체육대 등에 대해 “박근혜 정부 하에 비정상적으로 운영 됐다”고 주장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