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탈북자 수용교육시설인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하나원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참석한 국회 외통위 의원들이 교육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북한 출신 어머니와 중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탈북학생 ㄱ은 중국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까지 중국에서 살았다. ㄱ의 모국어는 중국어였고 난청으로 인한 학습장애도 겪고 있었다. ㄱ은 서툰 한국어로 위축된 상태지만 학습에는 매우 적극적이다. ㄱ은 장래에 한국-북한-중국의 가교역할을 하는 외교관이 꿈이다. 학교는 담임 교사 멘토링을 통해 ㄱ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또래 관계 회복을 지원했다. 담임교사는 ㄱ의 난청 사실을 교과 교사에게 알려 영어듣기평가 때 독립시험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수업에서 앞자리에 앉을 수 있도록 협의했다. (탈북학생 멘토링 지도사례집 중)
초·중·고교에 탈북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통합된 사회 일원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계획’을 23일 발표하고, 1년간 특별교부금 42억1500만원을 투입해 시·도교육청과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등의 탈북학생 교육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탈북학생들의 교육경로를 보면, 입국 초기에는 경기 안성 삼죽초등학교(유·초)나 하나원 내의 하나둘학교(중등)에 다니고, 전환기에는 한겨레중·고(특성화중·고), 정착기에는 일반 초·중·고나 대안학교(여명학교, 하늘꿈학교)에 다닌다. 교육부는 교육경로별 취약지점을 파악해 맞춤형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북한이 아닌 중국 등 제3국에서 출생한 탈북학생이 전체 탈북학생의 52%를 차지하는 만큼, 특히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입국 초기에 있는 탈북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삼죽초등학교에 중국어가 가능한 한국어 교육 강사를 추가 배치하고, 하나둘학교에 중국어 교사를 신규 파견하기로 했다. 북한이 아닌 제3국에서 출생한 탈북학생수는 708명(2012년)→979명(2014년)→1317명(2016년)으로 점점 늘고 있다.
또한, 탈북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지원과 직업교육도 강화하기로 했다. 한겨레중·고에 전문심리상담사를 배치해 학생들이 탈북 과정에서 겪은 불안감이나 가족과 떨어져 있는 고독감, 한국사회 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을 치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 탈북학생들이 자격증 취득 등 취업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특성화고인 한겨레고의 직업교육 프로그램 수를 늘리기로 했다. 현재 한겨레고에는 바리스타, 중장비, 피부미용, 제과제빵 등 총 6개 분야의 직업교육프로그램이 있지만 용접, 자동차 정비, 3D 프린터 등 3개 분야를 추가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에 입국한 탈북학생수는 1417명(2010년)→1992명(2012년)→2183명(2014년)→2517명(2016년)으로 점차 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서울(24.9%), 경기(28.7%), 인천(9.3%) 등지에 주로 거주하고, 탈북학생의 52%는 북한이 아닌 중국 및 제3국에서 넘어와 한국어 구사가 취약한 상태다.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는 “다가올 통일시대에 남북한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탈북학생이 각계각층에서 인재로 성장하길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