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단식농성 4일차에 접어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농성 중인 모습.
근속 수당 도입 등 학교 비정규직(교육공무직)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교육부·교육청과 교섭 중인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석 연휴 단식농성 11일째를 맞았다. 4명이 쓰러져 병원에 옮겨지는 등 비상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학교 비정규직 세 개 노조가 연대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달 27일부터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단식 농성을 시작하며 교육부와 전국 각 시·도교육청에 근속수당 도입, 최저임금 1만원, 정규직 임금의 80% 보장, 비정규직 차별 금지 등을 요구 중이다. 이들은 “1년을 일하나 10년을 일하나 똑같은 기본급을 받는 현재의 학교비정규직 임금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선 ‘근속 수당’을 도입해야 한다. 일을 하면 할수록 정규직과 임금격차가 심해진다”며 “그 동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를 천명한 문재인 대통령, ‘학교 비정규직 해결’을 취임 1호 업무지시로 내린 김상곤 교육부장관을 믿고 집단 교섭에 임했지만,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책임회피뿐이었다”고 말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와 전국여성노조,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등 지도부 30여명이 참여한 이번 단식농성은 현재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12명, 전국여성노조 7명이 연휴기간 11일째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학교의 급식, 학교 회계, 돌봄 등 약 50개 직종의 전국 14만여명의 학교 비정규직(교육공무직)을 대변하며 ‘근속수당 년간 3만원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방종옥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정책국장은 “호봉제인 정규직과 달리 학교 비정규직은 ‘장기근무 가산금’이란 이름으로 근속 3년째부터 5만원을 받고 이후 2만원씩 증가할 뿐이라 근무기간이 길어질 수록 정규직과 임금격차가 심해진다. 장기근무 가산금이 아닌 1년이 지나면 받는 ‘근속수당’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2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전국여성노조,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등이 연대해 집회를 벌였다. 이들은 “누군가의 엄마이자 며느리인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석연휴에 가족을 뒤로하고 길바닥에 앉았다”며 근속수당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이달 25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번 추석 연휴를 보내며 교육청, 청와대 앞에서 농성 중인 교육공무직 분들의 상황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이번 교섭은 교육부, 전국 시도교육청들, 공무직노조가 함께 진행하는 최초의 ‘집단교섭’이기 때문에 접점이 찾아지기까지 더 긴 시간과 인내가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