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학교 행정업무가 교사의 수업 연구를 가로막는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교육부가 전국 유·초·중·고교 교사 1020명 대상으로 지난달 23~28일 실시한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현장교원 설문조사’ 결과를 보니, 전체 응답 교사의 87%는 각종 행정업무가 수업과 학생 생활지도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는 하루 평균 근무시간 가운데 수업 4시간, 행정업무 2.1시간, 생활지도 1.8시간, 수업연구 1.3시간 등을 할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행정업무 가운데 가장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는 업무는 특히 교육청이나 교육부에 보고할 자료(46%)로 나타났으며, 교무회의나 학교행사 준비를 위한 자료(22%)가 뒤를 이었다.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도 각종 법령과 규제, 공문, 지침, 매뉴얼 등이 교사의 자율성을 제약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많았다. 교사들은 설문조사 자유문항에서 “반복적 조사 공문이나 각종 사업계획서 등을 거의 매일 기안해야 한다”, “상급기관이 지시하는 업무와 공문처리만 하다보니 교사는 자율성도, 학교 교육의 특색도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응답자들은 이런 학교 문화를 바꾸려면, 가장 먼저 이뤄져야 할 조처로 교무업무 전담부서의 신설 및 운영(40%)을 꼽았다.
한편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1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현장교원 토론회’ 자리에서 교사 176명과 함께 대화하며 “선생님들이 바라는 수업과 평가제도를 만들고, 학교에 도입된 여러 업무도 선생님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12일 전국 시·도교육감과 함께 제2회 학교자치정책협의회를 열어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불필요한 규제·지침 폐지 방안과 교육부에서 각 교육청으로 넘길 권한배분 과제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