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전형에서 평가 기준을 공개해 입학전형의 공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인 대학에 교육부가 지원금을 더 주기로 했다.
6일 교육부는 2018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총 559억원을 들여 65곳의 대학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대입전형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험 부담을 완화한 경우 2년 간 지원금을 주는데, 올해부터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기준을 공개한 대학에 더 많은 지원을 하기로 했다. 또 ‘출신고교 블라인드 면접’을 도입했는지, 전형 서류에 부모직업을 기재한 경우 불이익을 주는지도 따진다. 아울러 반드시 다수, 다단계 평가를 하도록 하고 응시자 면접을 친인척이 하게 된 경우 회피·제척 규정을 준수했는지도 평가한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2020학년도부터 대입전형 명칭을 표준화하기로 하고, 고교교육 과정을 벗어난 범위에서 논술 문제를 출제해 선행학습금지법을 위반하는 경우 다음해 지원에서 해당 대학을 제외하기로 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