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과 유치원생 등의 등교가 시작된 5월27일 인천 미추홀구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가림막이 설치된 상태로 수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장기화로 2학기에도 전면등교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원격수업과 등교수업 병행으로 커진 학력격차로 고심 중인 교육부가 빠르면 이번주 안에 수도권·광주 지역 등교 인원 확대 여부를 정할 방침이다.
26일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과 광주 지역은 유·초·중학교 등교 인원을 전교생의 3분의1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데, 이를 3분의2 이하로 완화할지 여부를 이번주 안에 결정해 학교에 안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유은혜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지금과 같은 (확산) 단계라고 하면 2학기에도 전면 등교는 어려울 수 있다”며 “다만 지금 수도권 학생들이 3분의1 이하로 등교하고 있는데 이를 3분의2로 확대하는 상황은 있을 수 있다”고 밝혔었다.
지난 5월24일 교육부는 ‘학교 밀집도 최소화 조처’를 발표해 등교 인원이 전교생의 3분의2가 넘지 않도록 각 학교에 권고한 바 있다. 이어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등의 여파로 5월29일부터 수도권의 방역 조처가 강화되자, 교육부는 이 지역 유·초·중 등교 인원을 전교생의 3분의1 이하로 제한했다. 6월 말부터 방문판매발 집단감염 등으로 지역사회 감염 확산 우려가 커진 광주에서도 지난 6일부터 여름방학 전까지 수도권과 동일하게 등교인원을 제한하고 있다.
교육부는 2학기에도 ‘3분의2 이하’ 권고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향후 지역 감염 확산세다. 수도권에선 20일부터 박물관, 도서관 등 공공시설이 다시 문을 여는 등 방역조처가 일부 완화됐지만, 소규모 집단감염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하루 확진자가 한자릿수로 떨어진 광주도 긴장의 끈을 완전히 놓을 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교육부로선, 원격수업과 등교수업 병행이 장기화하면서 학생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학력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을 마냥 두고보기는 어렵다. 등교 인원 제한이 완화돼 등교수업 비중이 늘어나면 취약계층·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면 지원이 강화될 수 있다. 유 부총리는 24일 대정부 질문에서 “중간고사 결과 중간층 학생들의 학습평가가 떨어졌다는 진단들이 있다”면서 “17개 시·도 교육청별로 진단이 끝나면 다양한 방식의 지원 모델을 만들어 맞춤형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