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소외계층 학생에 스마트기기 지원
경상북도교육청이 코로나19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 3천200여대를 지원한다.
삼성전자·엘지전자·엘지유플러스에서 기증한 태블릿피시 3000대와 일선 학교의 낡은 컴퓨터를 팔고 마련한 새 노트북 205대를 사회복지시설, 정보 소외계층 학생에게 지원한다.
경북교육청은 앞서 지난 1학기 원격수업을 위해 학교가 보유한 스마트기기 8107대와 교육부에서 지원받은 4499대를 학생들에게 빌려줬다. 또 교육급여 수급 가정에 월 1만9250원씩 인터넷 통신비 16억원을 지원하고 휴대용 와이파이를 빌려주기도 했다.
제1기 충남 학생인권위원 공개 모집
충청남도교육청이 독립적인 학생인권 심의기구인 ‘제1기 충청남도 학생인권위원회’ 위원을 오는 15일까지 공개모집한다.
지난달 제정한 ‘충청남도 학생인권조례’에 따른 것이다. 학생인권위는 학생, 학부모, 교사, 장학관, 교육위원 등 기관 추천 11명과 공개 모집 4명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공개모집하는 위원 4명은 외부 전문가 2명과 시민 2명이다. 외부 전문가는 교육, 아동복지, 청소년, 의료, 법률, 인권 등 전문가다.
학생인권위는 학생인권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심의와 집행 결과에 대한 평가, 학생인권 실태조사에 대한 자문과 조사 결과에 관한 의견 표명, 학생인권 침해의 유형·판단기준과 예방조치 등에 관한 지침 제시 등의 역할을 한다.
충남교육청 관계자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인권위 활동을 통해 학교 공동체의 인권을 실현하고, 시민사회와 협력을 통해 인권 친화적 교육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송파구, 대입설명회 온라인 중계
서울 송파구가 오는 14일과 21일 두 차례에 걸쳐 구청에서 ‘송파쌤 대입설명회’를 연다.
오는 14일 오후 2시 진동섭 한국진로진학정보원 이사가 수시전형 유의사항과 자기소개서 작성, 면접 비결을 전한다. 21일 오후 1시30분에는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이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입시 전략을 제시한다.
송파구는 수능시험 이후 결과를 분석하고 정시 지원 전략을 제공하는 설명회를 추가로 열 계획이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현장 참여 인원은 사전에 신청한 50명으로 제한한다. 설명회는 ‘송파쌤’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송파구는 자체 교육지원체계인 ‘송파쌤(SSEM)’ 누리집(lll.songpa.go.kr)을 활용한 ‘스마트 홈스쿨링’ 교육 지원을 시작한다.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길어지면서 학력격차와 기초학력 저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마련했다.
송파구 관계자는 “학업 공백을 채우고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며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송파쌤 스마트 홈스쿨링 교육 지원은 9월부터 초등 1~3학년, 초등 4~고등 1학년 등 두 개 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한다”고 전했다.
“다문화 학생 한국어 예비교육 받으세요”
서울시교육청은 1일부터 교육청 내 다문화교육지원센터(다+온센터)에서 중도입국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빛마중교실’을 운영한다.
한빛마중교실은 다른 국가에서 학교에 다니다가 입국한 다문화 학생이 학적을 생성하기 전에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한국어 예비 교육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1일부터 약 6개월간 한국어 교육 230시간을 포함해 상담, 진로, 문화 다양성 교육 등 총 388시간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참가 희망 학생은 보호자와 함께 서울 영등포구 영림초등학교 안에 있는 서울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직접 방문해 다문화 코디네이터와 상담 후 신청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22개 도서관·평생학습관이 휴관함에 따라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9월 온라인 프로그램은 조부모·부모 교육과 자녀 지도(6개), 인문학 강좌(10개), 독서·글쓰기(6개), 저자 강연회(4개) 분야로 나뉜다.
‘손자녀와 유쾌·상쾌·통쾌 대화법’(23일 영등포평생학습관), ‘철학 vs 문학: 철학이 묻고 문학이 답하다’(2~23일 강동도서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책으로 생각하는 교육’(7~28일 서대문도서관) 등의 강의가 진행된다.
프로그램 신청은 교육 시작일 전 서울시교육청 평생학습포털 에버러닝(everlearning.sen.go.kr)에서 할 수 있다.
김지윤 기자
kimjy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