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25일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이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열린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다. 오른쪽은 윤 총장의 아내 김건희씨. <한겨레> 자료사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아내 김건희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등을 수사하는 검찰의 잇따른 인력 충원 움직임과 압수수색이 이어지며 수사에 속도를 낸다는 관측이 나온다.
23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김씨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코바나컨텐츠 협찬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강력수사2부(부장 조주연)는 최근 서울남부지검에 있는 한국거래소 파견 전문인력 1명을 중앙지검 수사팀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인력은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본부에서 파견돼 주가 조작 수사 등에 전문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남부지검은 인력상황 등을 고려해 ‘파견은 어렵다’는 입장을 중앙지검에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지검이 한국거래소에 인력 추가 파견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아직 따로 검찰 쪽 요청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중앙지검 관계자는 “수사 관련 사안이라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력 보강을 통해 ‘윤석열 수사팀’이 수사에 박차를 가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반부패·강력수사2부는 대검으로부터 회계 분석 요원 4명을 파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통상 재무제표 분석 등 기업 비리 관련 수사에 투입되는 전문 수사관이다. 대기업 등 대형 사건 수사에 파견되는 통상적인 인원 2~3명보다 많은 인원이 파견돼 수사팀이 ‘저인망식 수사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 6월, 검찰 중간간부 인사 땐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에서 ‘신라젠 주가조작’ 사건 등을 수사해 금융범죄 수사 경력이 많은 검사들이 수사팀에 합류하기도 했다.
금융감독원 등 금융기관에 대한 압수수색도 잇따라 진행되고 있다. 이달 초 수사팀은 증권사 6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기도 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거래한 이들의 매매내역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6월, 검찰은 금감원을 압수수색해 지난 2013년 금감원이 권 회장을 소유지분 공시 의무 위반 혐의로 조사한 서류를 확보하기도 했다.
한편, 윤 전 총장 관련 수사는 1년 넘게 진행되고 있다. 해당 수사는 지난해 4월,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 등이 ‘김씨가 주가 시세조종행위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김씨 등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하며 시작됐다. 지난해 9월엔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이 윤 전 총장과 김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공동정범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 이들은 전시기획사 코바나컨텐츠에 대한 대기업 협찬사가 2019년 6월 윤 전 총장 검찰총장 후보자 지명 뒤 4곳에서 16곳으로 급증해 윤 전 총장을 상대로 기업들이 ‘보험용’ 협찬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