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5개대 연합대학 구상 제자리
경상-창원대, 전북-군산대 내부반발 난항
공주-천안공대 등 일부만 마무리 순조 2009년까지 대학 4곳중 1곳을 감축하는 대학 구조개혁 방안이 지난해 말 발표되면서 지역마다 국립대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당수 대학들이 이해관계 차이로 진통을 겪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1일 현재 국립대와 국립전문대 51개 가운데 40%를 넘는 23개 대학이 통합을 실제 이뤄냈거나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오는 5월말 기준으로 이들의 통합 진척도 등을 평가해 2~3개대에 최대 200억원씩 모두 450억원을 올해부터 2~4년 동안 지원할 방침이다. 난산 끝 이뤄낸 통합=충남 공주대와 천안공업대는 2년여의 노력 끝에 지난해 11월 통합을 이루고 12월 2005학년도 신입생 모집을 했다. 이들의 통합은 ‘대학간 윈-윈 통합’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두 대학은 현재 대학통합 실무추진단과 학교이름연구회를 꾸려 학과명, 교육과정·학사일정 확정, 공간 재배치, 학칙 등 규정과 학교명 개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지역은 서귀포 탐라대와 제주산업정보대의 통합 논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두 대학은 오는 3월부터 통합대학으로 출범하기로 했으며 가장 큰 걸림돌로 예상됐던 교직원 고용 문제와 관련해 전원 승계를 원칙으로 했다. 상당수는 여전히 난항=광주·전남지역 국립대인 전남대·목포대·순천대·여수대·목포해양대 등 5곳의 연합대학 구상은 추진 선언 1년 7개월이 지났지만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전망이 불투명하자 총장 5명은 최근 방향을 바꿔 “연합대학이 어려우면 정원감축과 학과통합 등 방법으로 대학 2~3곳을 먼저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산·경남에선 경상대와 창원대, 부산대와 밀양대 간 통합논의가 뜨거운 관심사다. 경상대와 창원대간 통합논의는 지난해 4월 두 대학의 통합 양해각서 체결과 7월 ‘경남국립대 통합 공동추진위’ 및 실무소위 구성을 통해 급물살을 타는 듯했다. 그러나 통합 뒤 대학본부는 진주(경상대)에 두고 창원은 공학, 진주는 생명과학 중심으로 단과대학을 재배치해 특화하는 쪽으로 기본안이 좁혀지자, 창원대 쪽이 교수회를 중심으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대와 밀양대간 통합논의는 지난해 8월 밀양대가 부산대에 통합 의향서를 전달했으나, 두 대학간 기획처장을 책임자로 한 실무협의 및 조정이 몇차례 진행됐을 뿐 이렇다 할 진척은 없는 상태다.
전북지역은 전북대와 군산대가 지난해 5월 연합대학체제 추진협의회를 구성했지만 10월 실무추진위를 끝으로 4개월째 논의가 중단되고 있다. 군산대는 임해정 총장이 최근 전북대와의 통합 추진을 중단하고 통합논의에 우호적인 익산대 쪽으로 손을 내밀자 교수들이 강하게 반대하고 나서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해부터 통합을 추진해온 충남대와 충북대는 2월안으로 통합 추진을 위한 두 대학 워크숍을 열기로 했다. 그러나 두 대학 교직원·학생·동문 등이 참가하는 공청회 일정조차 확정짓지 못한데다 반대 움직임까지 일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부산 광주 대전/신동명 정대하 송인걸, 강성만 기자 pik007@hani.co.kr
경상-창원대, 전북-군산대 내부반발 난항
공주-천안공대 등 일부만 마무리 순조 2009년까지 대학 4곳중 1곳을 감축하는 대학 구조개혁 방안이 지난해 말 발표되면서 지역마다 국립대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당수 대학들이 이해관계 차이로 진통을 겪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1일 현재 국립대와 국립전문대 51개 가운데 40%를 넘는 23개 대학이 통합을 실제 이뤄냈거나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오는 5월말 기준으로 이들의 통합 진척도 등을 평가해 2~3개대에 최대 200억원씩 모두 450억원을 올해부터 2~4년 동안 지원할 방침이다. 난산 끝 이뤄낸 통합=충남 공주대와 천안공업대는 2년여의 노력 끝에 지난해 11월 통합을 이루고 12월 2005학년도 신입생 모집을 했다. 이들의 통합은 ‘대학간 윈-윈 통합’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두 대학은 현재 대학통합 실무추진단과 학교이름연구회를 꾸려 학과명, 교육과정·학사일정 확정, 공간 재배치, 학칙 등 규정과 학교명 개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지역은 서귀포 탐라대와 제주산업정보대의 통합 논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두 대학은 오는 3월부터 통합대학으로 출범하기로 했으며 가장 큰 걸림돌로 예상됐던 교직원 고용 문제와 관련해 전원 승계를 원칙으로 했다. 상당수는 여전히 난항=광주·전남지역 국립대인 전남대·목포대·순천대·여수대·목포해양대 등 5곳의 연합대학 구상은 추진 선언 1년 7개월이 지났지만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전망이 불투명하자 총장 5명은 최근 방향을 바꿔 “연합대학이 어려우면 정원감축과 학과통합 등 방법으로 대학 2~3곳을 먼저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산·경남에선 경상대와 창원대, 부산대와 밀양대 간 통합논의가 뜨거운 관심사다. 경상대와 창원대간 통합논의는 지난해 4월 두 대학의 통합 양해각서 체결과 7월 ‘경남국립대 통합 공동추진위’ 및 실무소위 구성을 통해 급물살을 타는 듯했다. 그러나 통합 뒤 대학본부는 진주(경상대)에 두고 창원은 공학, 진주는 생명과학 중심으로 단과대학을 재배치해 특화하는 쪽으로 기본안이 좁혀지자, 창원대 쪽이 교수회를 중심으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대와 밀양대간 통합논의는 지난해 8월 밀양대가 부산대에 통합 의향서를 전달했으나, 두 대학간 기획처장을 책임자로 한 실무협의 및 조정이 몇차례 진행됐을 뿐 이렇다 할 진척은 없는 상태다.
전북지역은 전북대와 군산대가 지난해 5월 연합대학체제 추진협의회를 구성했지만 10월 실무추진위를 끝으로 4개월째 논의가 중단되고 있다. 군산대는 임해정 총장이 최근 전북대와의 통합 추진을 중단하고 통합논의에 우호적인 익산대 쪽으로 손을 내밀자 교수들이 강하게 반대하고 나서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해부터 통합을 추진해온 충남대와 충북대는 2월안으로 통합 추진을 위한 두 대학 워크숍을 열기로 했다. 그러나 두 대학 교직원·학생·동문 등이 참가하는 공청회 일정조차 확정짓지 못한데다 반대 움직임까지 일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부산 광주 대전/신동명 정대하 송인걸, 강성만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