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추적 전자 장치(전자발찌) 훼손 전후로 여성 2명을 잇달아 살해한 혐의를 받는 강아무개씨가 지난달 31일 서울동부지법에서 열리는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며 취재진의 마이크를 발로 차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이 거주지 정보 등 소재가 불확실한 성범죄 전과자 119명에 대한 추적에 나섰다.
2일 경찰청은 지난달 31일 ‘소재 불명 집중 검거 및 고위험군 일제점검 계획’ 공문을 전국 18개 시·도경찰청에 보냈다고 밝혔다. 성범죄 전과자를 감시하기 위한 위치추적 전자장치(전자발찌)를 훼손하고 여성 2명을 살해한 강아무개(56)씨 사건으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가운데 경찰이 대응에 나선 것이다.
신상정보 등록 결정이 난 성범죄 전과자는 관할 경찰서에 자신의 주거지 및 개인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하지만 경찰은 거주지를 옮긴 뒤 신고하지 않거나 경찰의 추적을 따돌리려고 숨는 등의 이유로 소재가 명확하지 않은 성범죄 전과자가 지난 7월 기준 119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신상등록대상자는 지난해 기준 8만939명이다. 소재가 불확실한 119명 중 46명(38.7%)은 서울·수도권에 주거지를 신고했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르는 등 죄가 무거워 신상정보등록과 더불어 ‘신상정보공개’ 대상인 성범죄 전과자 4349명(7월 기준) 중 소재가 불확실한 사람도 9명이다. 이들은 시·도경찰청 여성대상특별범죄수사팀에서 전담해 검거에 나설 방침이다.
경찰은 상반기와 하반기에 걸쳐 연 2회 집중 검거 기간을 운영해왔으나, 2021년 하반기는 강씨 사건을 계기로 검거 시기를 앞당기고 경찰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