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사주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관들이 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의 고발 사주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지난해 4월3일 김웅 국민의힘 의원과 이 사건 제보자 조성은씨의 통화 녹음 파일을 복구하면서 이 사건을 둘러싼 실체가 뚜렷해지고 있다. 당시 김 의원은 조씨와의 통화에서 “우리가 고발장을 보내주겠다”고 했는데, 공수처는 김 의원이 언급한 “우리”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공수처는 김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한 상태다.
7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공수처는 복구한 녹음 파일을 통해 ‘작성-전달-실행’으로 이어지는 고발 사주 의혹 연결고리 가운데 후반부 진행 과정을 상당 부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가 복구한 녹음 파일은 지난해 4월3일 김 의원이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었던 조씨에게 ‘손준성 보냄’이라고 표기된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해 범여권 정치인과 언론인에 대한 고발장 등을 전달하기 전후 두 사람이 나눈 통화 내용이다. 여기에는 ‘우리가 고발장을 써서 보내줄 테니 남부지검에 접수시키는 게 좋겠다’ ‘대검에 접수하라’는 등의 김 의원 발언이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또 여러 언론은 통화 내용 가운데 ‘검찰이 억지로 받은 것처럼 해야 한다’ ‘내가 대검에 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온 게 되니 빠져야 한다’ 등의 발언도 있었다고 보도했다. 그동안 다른 상황은 대부분 기억하면서 유독 고발장 전달 과정에 대해서는 “기억나지 않는다”는 애매한 태도로 일관했던 김 의원이 더는 발뺌하기 어려운 구체적 물증이 확보된 셈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김 의원도 피의자로 전환된 상태”라고 했다.
출범 뒤 오는 12일 처음 국정감사를 받는 공수처가 국민의힘의 파상공세를 예상하면서도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 국회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할 수 있었던 배경도 고발장 전달과 이 고발장을 토대로 실제 고발이 이뤄진 실행 과정의 실체를 상당 부분 파악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 의원은 ‘손준성 보냄’을 통해 김웅 의원에게 전달된 ‘4월8일 고발장’과 거의 동일한 고발장 초안을 당무감사실에 전달했고, 당 법률자문위원인 조아무개 변호사는 당무감사실에서 받은 이 초안을 일부 손봐 지난해 8월 검찰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국민의힘은 이런 사실이 드러나고 한달이 지나도록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공수처는 김 의원이 조씨와 한 통화에서 고발장 작성 주체로 언급한 “우리”가 검찰 관계자를 의미하는지 등을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특히 고발장 전달자로 지목된 손준성 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을 조만간 불러 고발 사주 의혹의 연결고리 가운데 전반부에 속하는 고발장 작성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또 손 검사의 부하 검사였던 수사정보2담당관 및 파견검사에 대해서도 고발장 관련 자료 수집, 법률 검토, 작성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김 의원이 말한 “우리”가 검찰을 뜻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온다. 김 의원이 조씨에게 ‘손준성 보냄’이라고 표기된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낸 지난해 4월은 김 의원이 검사를 그만둔 지 석달밖에 되지 않은 시점이다. 더욱이 조씨와 한 통화에서 김 의원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언급한 대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윤 전 총장 개입 여부는 앞으로 핵심 수사 포인트로 꼽힌다. 고발장 내용도 윤 전 총장 장모 및 측근과 관련한 것이기 때문에 윤 전 총장 지시 여부 등 윗선 수사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