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국장 친목회서 시장 사조직 성격으로”
변질싸고 내부논란도
변질싸고 내부논란도
이명박 서울시장의 ‘황제 테니스’ 주선을 맡았던 서울시체육회 상임부회장이 시체육회 예산을 정치조직 운영비용으로 쓴 사실이 드러나면서 황제 테니스 파문이 ‘비리 의혹’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 시장 취임 뒤 시체육회 예산이 급증한데다, 예산 집행 등에 대한 감독도 허술한 것으로 나타나 의문이 커지고 있다.
한국회는?=지난해 6월 결성된 ‘한국회’는 예전에 한나라당 지구당의 사무국장을 지낸 사람들의 모임이다. 서울시체육회 상임부회장 이명원씨는 처음 결성되면서부터 이 조직의 회장을 맡았다. 이씨는 한국회의 전신인 ‘한나라당 지구당 사무국장 협의회’ 회장도 지낸 인물이다.
한국회는 애초 20여명 정도가 매달 점심을 먹는 친목회 성격으로 출발했다. 그러다가 모임의 중추인 이씨가 ‘테니스 주선’ 등으로 이명박 시장의 ‘측근’으로 떠오르면서 점차 이 시장을 ‘정치적 방향타’로 설정하게 됐다고 한나라당 지구당 사무국장 출신의 한 인사는 말했다.
이 인사는 “2002년 한나라당이 지구당 사무실을 없애면서 사무국장들이 구심점을 잃은 와중에, 이씨가 억대 연봉을 받는 시체육회 상임부회장이 되자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들게 됐다”고 말했다. 그동안 한국회 모임엔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구청장 등이 돌아가며 참석해 밥값을 치렀다. 이 자리에 참석했던 한 회원은 “한국회 모임에선 건배를 할 때 ‘위하여’ 대신 이 시장의 건승을 기원하는 ‘구호’를 외치기도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30일 한국회가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송념모임을 열었을 때는 서울시장 출마를 위해 뛰고 있는 박진 한나라당 의원 등도 들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자들은 ‘청계천 기념 넥타이’ 등을 받았다. 한 달 뒤인 지난 1월엔 맹형규·홍준표 의원도 한국회 정기모임에 참석했다. 모임에 참석했던 의원들은 “한국회 회원들이 모두 한나라당 대의원들”이라며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대비해 대의원들이 모이는 자리에 될수록 많이 가서 인사를 드리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국회의 성격을 놓고,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 “사무국장 출신의 모임일 뿐이었지만 이씨가 모임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점차 이명박 시장의 사조직 같은 성격을 띠자 내부에서 이견이 빚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체육회 예산으로 정치활동?=한국회 회원들은 “매달 1만원의 회비를 거둬 밥값으로 쓴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1월25일 열린 정기모임의 점심값 36만5천원은 시체육회 예산에서 나갔다.
체육회는 시로부터 받는 예산이 올해 173억6천만원에 이르는 등 이 시장 취임 전에 비해 예산이 세 배 가까이 늘었다. 이 가운데 인건비·경비 11억6천여만원을 빼면 사업성 예산이 모두 150억2600만원이다.
한 회계전문가는 “인건비 같은 기본 경비에 비해 사업성 예산은 눈먼 돈이 되기 쉽다”며 “사업성 예산의 경우 대부분 계약이 이뤄지기 전에 예산을 청구하고 나중에 실제로 쓴 금액을 정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가기준표 등을 꼼꼼히 대조해 결산을 투명하게 감시하는 일이 어렵다”고 말했다. 시체육회는 시의 예산을 받는 사회단체이지만 시 산하단체가 아니라는 이유로 서울시의 정기감사를 받지 않고 있다. 서울시의 한 공무원은 “법에 그렇게 돼 있다 해도 173억여원이나 받으면서 감사를 받지 않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조혜정 조기원 성연철 기자 edigna@hani.co.kr
한 회계전문가는 “인건비 같은 기본 경비에 비해 사업성 예산은 눈먼 돈이 되기 쉽다”며 “사업성 예산의 경우 대부분 계약이 이뤄지기 전에 예산을 청구하고 나중에 실제로 쓴 금액을 정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가기준표 등을 꼼꼼히 대조해 결산을 투명하게 감시하는 일이 어렵다”고 말했다. 시체육회는 시의 예산을 받는 사회단체이지만 시 산하단체가 아니라는 이유로 서울시의 정기감사를 받지 않고 있다. 서울시의 한 공무원은 “법에 그렇게 돼 있다 해도 173억여원이나 받으면서 감사를 받지 않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조혜정 조기원 성연철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