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대검 중수부가 김대중 정부 시절 `금융권 마당발' 김재록 씨에게 수십억원의 로비자금을 준 정황을 포착, 26일 현대.기아차 본사를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하자 당황하며 수사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일단 검찰이 수사중인 상황인 만큼 이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자칫 이번 수사가 확대돼 환율 문제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경영을 더욱 악화시키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검찰이 압수수색을 실시한 데 대해 "검찰이 수사중인 상황인 만큼 사안에 대해 언급할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게 공식적인 입장"이라며 더 이상의 언급을 회피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오늘이 일요일이라 우리도 언론 보도를 보고 압수수색 사실을 알았다"며 "검찰이 압수수색을 통해 수사하려는 혐의가 무엇인지도 도저히 감이 잡히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검찰의 수사 대상과 진위 여부, 향후 그룹 경영에 미치게 될 영향 등을 분석하며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는 일단 검찰이 "김재록씨 조사과정에서 김씨가 현대.기아차 그룹 사업과 관련해 수십억원의 로비자금을 받은 정황이 포착됐고 이 자금중 일부는 출처가 글로비스의 비자금인 것으로 나타나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밝힌 데 주목하고 있다.
이는 당초 검찰의 압수수색이 1998년 현대차의 기아차 인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알려졌으나 로비자금이 나왔다는 물류 계열사인 글로비스의 설립이 2001년 2월인 만큼 기아차 인수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검찰도 조사 대상 시점에 대해 "현대차의 기아차 인수 이후라는 것은 분명히 해주겠다"고 밝히고 있다.
또 로비 정황이 포착된 대상에 대해 "부실기업 인수와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며 "김재록씨의 부실기업 인수 관련 부분과 금융대출 알선 외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는 것이 검찰의 설명이다. 이 같은 검찰의 설명 등을 감안하면 일단 이번 검찰 조사의 초점은 글로비스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그의 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60%의 지분을 갖고 있는 글로비스는 설립 이후 현대.기아차의 자동차 물류물량을 바탕으로 급성장하면서 지난해 매출 1조5천408억원과 순이익 799억원을 올렸으며, 지난해말 상장 이후 주가가 연일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다. 즉 검찰이 이 과정에서 주식과 관련해 현대차그룹이 김재록씨를 통해 모종의 로비를 시도한 정황을 포착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게 현대차그룹 안팎 일부의 관측이다.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는 그러나 검찰이 "후계 구도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확인한 점에 비춰 이번 조사 대상이 현대차그룹의 경영권 승계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밖에 김씨가 로비를 한 현대차그룹의 사업에 대해 "정부와 관련된 사업일 수도 있다"는 검찰의 설명 등을 들어 검찰 조사 대상이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방위산업과 관련됐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이번 수사는 현대차그룹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수사는 아니다" "현대차그룹의 위상이나 역할에 비춰 국가경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정당한 기업 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부서 중심의 제한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는 검찰 설명 등을 들어 이번 조사가 일부분에 국한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 (서울=연합뉴스)
또 로비 정황이 포착된 대상에 대해 "부실기업 인수와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며 "김재록씨의 부실기업 인수 관련 부분과 금융대출 알선 외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는 것이 검찰의 설명이다. 이 같은 검찰의 설명 등을 감안하면 일단 이번 검찰 조사의 초점은 글로비스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그의 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60%의 지분을 갖고 있는 글로비스는 설립 이후 현대.기아차의 자동차 물류물량을 바탕으로 급성장하면서 지난해 매출 1조5천408억원과 순이익 799억원을 올렸으며, 지난해말 상장 이후 주가가 연일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다. 즉 검찰이 이 과정에서 주식과 관련해 현대차그룹이 김재록씨를 통해 모종의 로비를 시도한 정황을 포착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게 현대차그룹 안팎 일부의 관측이다.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는 그러나 검찰이 "후계 구도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확인한 점에 비춰 이번 조사 대상이 현대차그룹의 경영권 승계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밖에 김씨가 로비를 한 현대차그룹의 사업에 대해 "정부와 관련된 사업일 수도 있다"는 검찰의 설명 등을 들어 검찰 조사 대상이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방위산업과 관련됐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이번 수사는 현대차그룹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수사는 아니다" "현대차그룹의 위상이나 역할에 비춰 국가경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정당한 기업 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부서 중심의 제한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는 검찰 설명 등을 들어 이번 조사가 일부분에 국한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