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27일 현대차그룹의 로비자금 수십억원이 금융브로커 김재록씨에게 전달된 정황을 포착,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함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성장 과정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실제 비자금을 조성해 김씨에게 로비자금을 전달했을 경우 현대차그룹의 기업 인수나 신규사업 진출, 사옥 등 신.증축을 비롯한 현대차그룹의 성장과정과 관련한 목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검찰이 현대차그룹 내에서 조성된 정확한 비자금 규모와 조성 경위 및 사용처, 김씨에게 로비한 배경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실무자 소환 등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수사 결과에 따라 향후 현대차그룹의 경영에 상당한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 현대차그룹, 재계 5위서 2위로 급성장 = 2000년 `왕자의 난' 이후 그해 9월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될 당시 현대차그룹의 자산은 31조723억원으로, 삼성과 현대, LG, SK에 이어 자산 기준으로 재계 5위였다.
당시 현대차그룹에는 1998년 인수한 기아차와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 인천제철(현대제철), 현대캐피탈, 현대우주항공, 오토에버닷컴, 이에이치디닷컴, 현대강관, 삼표제작소 등 10개에 불과했다.
현대차그룹은 그러나 2001년 현대카드(옛 다이너스카드)를 인수, 숙원인 금융업에 진출한데 이어 해태타이거스, 로템(옛 한국철도차량), 자동차부품업체인 위아, 본텍, 코리아정공, 위스코 등을 추가로 인수해 2002년에는 계열사가 계열 분리 당시의 3배에 가까운 26개로 늘었으며 자산규모(46조원)도 재계 4위로 1단계 뛰었다.
현대차그룹은 이후에도 계열사 편입과 사업 확장 등을 통해 자산과 매출 등의 규모를 계속 확대, 작년 4월 기준으로는 자산총액이 56조원(계열사 28개)으로, 공기업을 제외하고는 삼성(62조원)에 이어 2위 그룹으로 부상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7월 독일의 지멘스와 자동차 전장부품업체인 현대오토넷을, 현대모비스가 자동차 부품업체인 카스코를 각각 인수하고 현대오토넷과 본텍을 합병하는 등 올해 2월 현재 계열사가 40개로 더욱 늘어난 상태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확대뿐 아니라 사업영역도 대폭 확장해 왔다. 2004년 당시 현대INI스틸(현대제철) 컨소시엄을 통해 옛 한보철강의 당진공장을 인수, 철강사업을 확장한 데 이어 최근에는 2011년까지 당진에 고로를 건설해 일관제철소 사업에도 뛰어들기로 했다. 또 작년 5월에는 정몽구 회장이 10%, 정의선 사장이 25.06%, 글로비스가 24.96%, 기아차와 현대모비스가 각 19.99%의 지분을 갖고 있는 비상장사인 건설 계열사 엠코의 유상증자를 통해 이 회사를 육성함으로써 종합건설까지 영역을 확대키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와 함께 작년 5월 자체 종합광고대행사인 이노션을, 6월에는 해비치레저를 각각 설립해 광고업과 체육시설업 및 관광사업에도 진출한 상태다. 이 과정에서 그룹 계열사의 경영권 구도와 지분 구조 등도 적지 않게 변화했다. 정몽구 회장의 외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은 지난해 2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에 이어 3월에는 대표이사를 맡아 경영 전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정 사장은 이후 작년 9월 본텍의 지분 30%(60만주)를 지멘스에 주당 9만5천원에 매각한 데 이어 11월에는 현대캐피탈의 기아차 보유 주식 4.95%(1천719만주) 가운데 일부인 340만4천500주(0.98%)를 매입, 보유 지분은 1.01%에서 1.99%로 늘렸다. 정사장은 또 31.88%(1천195만4천460주)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비스가 지난해 연말 상장됨에 따라 막대한 규모의 평가 차익을 얻는 등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의혹을받아온 상태다. ◇ 단순 부정인가, 전방위 비리인가 = 검찰이 일단 밝힌 조사 대상은 현대차그룹의 건축이나 건설 인.허가 관련이다. 이 경우 2000년 현대 기아차의 양재동 사옥 매입과 최근 공사중인 사옥 증축, 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 건립 등의 인.허가 과정에서 김씨에게 로비자금이 건네져 고위 인사를 대상으로 로비가 이뤄졌는 지가 검찰 수사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 이와 함께 검찰이 26일 현대오토넷에 대해서도 비자금 조성 등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인 점 등을 들어 로비자금이 최근에 전달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대차가 지멘스와 현대오토넷 지분 인수를 마무리한 것이 작년 8월말인 만큼 현대오토넷의 비자금 조성이나 제공시점이 그 이전이라면 이는 현대차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검찰과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는 건축이나 건설 인.허가 관련이 아니라 현대차그룹의 현대오토넷 인수나 이전의 기아차 및 계열부품사 인수, 계열 분리 등의 과정에 조사의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로비자금 조성 및 제공 시점이 작년 8월 이후라면 현대차그룹의 신규사업 진출이나 공장 건립 등 현재 추진중인 사업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현대제철의 당진공장(옛 한보철강) 인수 등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데다 향후 일관제철소 건설(5조원)과 기아차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12억달러) 등의 사업에 내부자금 외에 국내외에서 상당액의 자금을 차입해야 하는 만큼 대출과 관련한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일단 "현대차 수사는 지류에 불과하다. 본류는 김재록 사건이다"고 밝히고 있어 현대차그룹에 대한 이번 조사가 비교적 단순한 부정사건 차원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즉 현대차그룹 수사는 비자금을 조성한 주체로 의심되는 현대차 오너 일가의 비리를 단죄하기보다는 김씨 등에게 전달된 로비자금의 흐름을 추적해 연루된 고위 인사들을 색출하기 위한 `곁가지' 수사라는 얘기다. 현대차그룹이 특정 목적이 아니라 `보험' 차원에서, 또 비자금이 아니라 단순 명목의 회사자금을 김씨에게 전달했을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검찰이 "내부 제보가 있었다"고 밝힌 점 등을 감안하면 검찰 수사에서 현대차그룹의 비자금 조성이나 로비가 드러나거나 새로운 비리사실이 확인될 경우 그룹 고위층에 대한 전방위 비위 수사로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비자금이 최고 경영자의 지시에 의해 조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실무자 차원인 조사 대상에 정몽구 회장이나 정의선 사장까지 포함되고, 단순 비리가 아니라 그룹 전체 차원의 비리나 경영권 승계 문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견해다. 이 경우 자칫 현대차그룹이 최근 비상경영 속에서도 추진하고 있는 일관제철소 건립이나 해외 공장 건설 등 글로벌 경영에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그룹의 존폐 위기로까지 치닫을 수 있는 상황이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 (서울=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확대뿐 아니라 사업영역도 대폭 확장해 왔다. 2004년 당시 현대INI스틸(현대제철) 컨소시엄을 통해 옛 한보철강의 당진공장을 인수, 철강사업을 확장한 데 이어 최근에는 2011년까지 당진에 고로를 건설해 일관제철소 사업에도 뛰어들기로 했다. 또 작년 5월에는 정몽구 회장이 10%, 정의선 사장이 25.06%, 글로비스가 24.96%, 기아차와 현대모비스가 각 19.99%의 지분을 갖고 있는 비상장사인 건설 계열사 엠코의 유상증자를 통해 이 회사를 육성함으로써 종합건설까지 영역을 확대키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와 함께 작년 5월 자체 종합광고대행사인 이노션을, 6월에는 해비치레저를 각각 설립해 광고업과 체육시설업 및 관광사업에도 진출한 상태다. 이 과정에서 그룹 계열사의 경영권 구도와 지분 구조 등도 적지 않게 변화했다. 정몽구 회장의 외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은 지난해 2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에 이어 3월에는 대표이사를 맡아 경영 전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정 사장은 이후 작년 9월 본텍의 지분 30%(60만주)를 지멘스에 주당 9만5천원에 매각한 데 이어 11월에는 현대캐피탈의 기아차 보유 주식 4.95%(1천719만주) 가운데 일부인 340만4천500주(0.98%)를 매입, 보유 지분은 1.01%에서 1.99%로 늘렸다. 정사장은 또 31.88%(1천195만4천460주)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비스가 지난해 연말 상장됨에 따라 막대한 규모의 평가 차익을 얻는 등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의혹을받아온 상태다. ◇ 단순 부정인가, 전방위 비리인가 = 검찰이 일단 밝힌 조사 대상은 현대차그룹의 건축이나 건설 인.허가 관련이다. 이 경우 2000년 현대 기아차의 양재동 사옥 매입과 최근 공사중인 사옥 증축, 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 건립 등의 인.허가 과정에서 김씨에게 로비자금이 건네져 고위 인사를 대상으로 로비가 이뤄졌는 지가 검찰 수사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 이와 함께 검찰이 26일 현대오토넷에 대해서도 비자금 조성 등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인 점 등을 들어 로비자금이 최근에 전달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대차가 지멘스와 현대오토넷 지분 인수를 마무리한 것이 작년 8월말인 만큼 현대오토넷의 비자금 조성이나 제공시점이 그 이전이라면 이는 현대차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검찰과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는 건축이나 건설 인.허가 관련이 아니라 현대차그룹의 현대오토넷 인수나 이전의 기아차 및 계열부품사 인수, 계열 분리 등의 과정에 조사의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로비자금 조성 및 제공 시점이 작년 8월 이후라면 현대차그룹의 신규사업 진출이나 공장 건립 등 현재 추진중인 사업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현대제철의 당진공장(옛 한보철강) 인수 등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데다 향후 일관제철소 건설(5조원)과 기아차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12억달러) 등의 사업에 내부자금 외에 국내외에서 상당액의 자금을 차입해야 하는 만큼 대출과 관련한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일단 "현대차 수사는 지류에 불과하다. 본류는 김재록 사건이다"고 밝히고 있어 현대차그룹에 대한 이번 조사가 비교적 단순한 부정사건 차원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즉 현대차그룹 수사는 비자금을 조성한 주체로 의심되는 현대차 오너 일가의 비리를 단죄하기보다는 김씨 등에게 전달된 로비자금의 흐름을 추적해 연루된 고위 인사들을 색출하기 위한 `곁가지' 수사라는 얘기다. 현대차그룹이 특정 목적이 아니라 `보험' 차원에서, 또 비자금이 아니라 단순 명목의 회사자금을 김씨에게 전달했을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검찰이 "내부 제보가 있었다"고 밝힌 점 등을 감안하면 검찰 수사에서 현대차그룹의 비자금 조성이나 로비가 드러나거나 새로운 비리사실이 확인될 경우 그룹 고위층에 대한 전방위 비위 수사로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비자금이 최고 경영자의 지시에 의해 조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실무자 차원인 조사 대상에 정몽구 회장이나 정의선 사장까지 포함되고, 단순 비리가 아니라 그룹 전체 차원의 비리나 경영권 승계 문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견해다. 이 경우 자칫 현대차그룹이 최근 비상경영 속에서도 추진하고 있는 일관제철소 건립이나 해외 공장 건설 등 글로벌 경영에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그룹의 존폐 위기로까지 치닫을 수 있는 상황이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