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회장 구속영장 각계 반응
검찰이 27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선처를 탄원했던 재계는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면서 이번 일이 조속히 마무리돼 경제에 미치는 충격파가 최소화하기를 기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날 공식 코멘트를 통해 “경제계,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선처 요청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그룹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환율·유가 문제로 경제가 어려운 데 왕성한 경영활동으로 우리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그룹 회장을 굳이 구속해 재판받도록 하는 게 합당한 지 의문”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현대차가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들과 경쟁해, 수출역군으로 다시 한번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조속히 이 사태가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은 “검찰 수사 결과에 대해 청와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도 “검찰이 독자적으로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고 판단했다고 하는 만큼, 이를 존중한다”며 “사전에 검찰로부터 보고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은 “대기업 총수가 비자금 조성과 관련해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기업 투명성 확대와 경영합리화는 양보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기업들이 투명성 강화와 합리적인 경영을 위한 계기로 삼기 바란다”고 논평했다.
박용진 민주노동당 대변인도 “경제정의 실현과 반사회적 범죄에 대한 처벌 원칙을 실현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다만, 앞으로 이건희 삼성 회장 부자의 범죄행위를 처벌하지 못한다면 이번 조처의 의미도 희석되고, 완전한 법 정의 실현도 요원해진다”고 지적했다.
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비자금의 실체도 아직 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현대가의 재산상속 문제만을 가지고 정몽구 회장을 구속하려는 점은 석연치 않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김의겸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