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풍선 달아 192명 기려
하늘도 내내 보슬비 눈물
“사고 없는 저 세상에서 고통없이 편히 잠드세요.” “못다 이룬 스무살의 꿈, 천국에서 꼭 이루시길 빕니다.” ‘2·18 대구지하철 참사 2주기’를 맞은 18일 대구는 추모식등으로 온통 ‘추모 물결’에 휩싸였다. 시민들은 2년 전 192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하철 참사를 떠올리며 먼저 간 이들의 명복을 빌고 다시는 이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하루를 보냈다. 이날 오전 9시 53분. 2년전 참사가 발생했던 그 시각에 1분여 동안 사이렌이 대구 전역에 울려 퍼졌다. 도심지 상가와 사무실, 가정집에서 시민들은 잠시 일손을 놓은 채 숨진 이들의 넋을 위로했다. 오전 9시 30분부터 대구 시민회관 마당에서는 유족들의 오열 속에 부상자, 대구 시민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식이 열렸다. 희생자 192명의 위패가 모셔진 단상 앞에서 추모 연주 및 진혼북 울림으로 시작된 추모식은 묵념과 초혼 행사, 종교 의식, 헌화 및 분향 등의 순으로 약 2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추모식장의 500여개의 의자는 희생자의 넋을 위로해 하얀 풍선으로 장식됐다.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조해녕 대구시장, 이의근 경북지사 등도 참석했다. 유족들의 슬픔을 씻어주려는 듯 보슬비가 내렸지만 시민들은 하얀색 비옷을 입은 채 2시간 내내 자리를 지켰다. 계명대 음대 1학년에 재학중이던 딸을 잃은 임연지(45)씨는 “살아남은 우리들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열심히 살겠다”며 딸의 이름을 부르며 통곡해 분위기를 숙연케했다. 임씨가 편지글 형식의 추도사를 읽어 내려가자 유족들은 함께 눈시울을 붉혔다.
참사 현장인 시내 중앙로 역위 환풍구에는 희생자 192명을 상징하는 촛불 192개가 켜졌다. ‘생명의 별밭’으로 명명된 이 곳에는 연꽃 모양의 촛불 주위로 시민들이 가져온 하얀 국화 수백송이가 놓여졌다. 앞서 17일 중앙로역사 안 분향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출근길 시민들의 추모발길이 끝없이 이어졌고, 하얀 국화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또 역사 기둥에는 희생자 유족·친구들의 생전 사연과 추억 등 애절한 추모 글이 빼곡이 나붙어 시민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대구/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하늘도 내내 보슬비 눈물
“사고 없는 저 세상에서 고통없이 편히 잠드세요.” “못다 이룬 스무살의 꿈, 천국에서 꼭 이루시길 빕니다.” ‘2·18 대구지하철 참사 2주기’를 맞은 18일 대구는 추모식등으로 온통 ‘추모 물결’에 휩싸였다. 시민들은 2년 전 192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하철 참사를 떠올리며 먼저 간 이들의 명복을 빌고 다시는 이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하루를 보냈다. 이날 오전 9시 53분. 2년전 참사가 발생했던 그 시각에 1분여 동안 사이렌이 대구 전역에 울려 퍼졌다. 도심지 상가와 사무실, 가정집에서 시민들은 잠시 일손을 놓은 채 숨진 이들의 넋을 위로했다. 오전 9시 30분부터 대구 시민회관 마당에서는 유족들의 오열 속에 부상자, 대구 시민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식이 열렸다. 희생자 192명의 위패가 모셔진 단상 앞에서 추모 연주 및 진혼북 울림으로 시작된 추모식은 묵념과 초혼 행사, 종교 의식, 헌화 및 분향 등의 순으로 약 2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추모식장의 500여개의 의자는 희생자의 넋을 위로해 하얀 풍선으로 장식됐다.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조해녕 대구시장, 이의근 경북지사 등도 참석했다. 유족들의 슬픔을 씻어주려는 듯 보슬비가 내렸지만 시민들은 하얀색 비옷을 입은 채 2시간 내내 자리를 지켰다. 계명대 음대 1학년에 재학중이던 딸을 잃은 임연지(45)씨는 “살아남은 우리들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열심히 살겠다”며 딸의 이름을 부르며 통곡해 분위기를 숙연케했다. 임씨가 편지글 형식의 추도사를 읽어 내려가자 유족들은 함께 눈시울을 붉혔다.
참사 현장인 시내 중앙로 역위 환풍구에는 희생자 192명을 상징하는 촛불 192개가 켜졌다. ‘생명의 별밭’으로 명명된 이 곳에는 연꽃 모양의 촛불 주위로 시민들이 가져온 하얀 국화 수백송이가 놓여졌다. 앞서 17일 중앙로역사 안 분향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출근길 시민들의 추모발길이 끝없이 이어졌고, 하얀 국화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또 역사 기둥에는 희생자 유족·친구들의 생전 사연과 추억 등 애절한 추모 글이 빼곡이 나붙어 시민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대구/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