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수철 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이 충의사의 현판을 떼낸 뒤, 독립기념관 앞에서 세조각낸 현판을 내보이고 있다. 사진 오마이뉴스 제공.
[사진설명] ▷ 양수철 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이 1일 아침 8시께 충남 예산 충의사에 걸려 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현판을 떼어내 액자를 분리한 뒤(사진 1, 2), 천안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수차례 친일파 현판 철거 요청을 했으나 예산군은 이를 거부했고, 국회의 과거사법은 논의가 지지부진한 것에 참을 수 없어 직접 철거했다”며 “어떠한 불이익도 감수하겠다”고 말하고 있다.(사진 3) <오마이뉴스> 제공
[인터뷰] 충의사 사당 박정희친필 떼어내 부순 양수철씨 “윤봉길 의사께 죄송한 마음을 조금은 덜었습니다.” 지난 1일 윤 의사를 모신 ‘충의사’ 본전의 박정희 전 대통령 친필 현판을 떼내어 부숴버린 양수철(46·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씨는 2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광복 60년을 맞아 친일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이었다”며 밝게 웃었다.
그는 “윤 의사는 나라의 광복과 겨레의 번영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리고 일제에 항거한 분인데, 그 영혼을 추모하는 집 이름을 친일한 사람이 썼다는 건 민족이 부끄러워 해야 할 일”이라며 “현판을 떼내고 부숴 독립기념관에서 전시하는 내내 윤 의사께 사죄드렸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가 충의사 현판 교체를 주장한 것은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을 맡고 있던 2년여전 부터로, 한 회원이 박 전 대통령의 친일 행적을 제보하면서 비롯됐다. “‘충의사’ 현판을 바꿔달아 이 땅에 깊이 뿌리내려 청산되지 않고 있는 친일 굴레에서 벗어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각계에 진정을 냈지만 어느 기관도 박 전 대통령의 친필 현판을 바꾸려 하지 않았다. “누더기가 된 친일행위진상규명법, 지지부진한 과거사법 처리 과정에서 보듯 차일피일 미루면 잘못된 역사와 반민족행위를 바로잡을 기회마저 잃게 될 겁니다. 꼭 필요하지만 나라가 못하는 일이라면 국민이 나서는 게 후손을 위해 목숨바친 선열에 대한 예의라고 봅니다.”
윤씨가 떼어낸 현판은 독립기념관에서 전시하던 도중 지인들과 막걸리 한 잔하고 와보니 없어졌다고 윤씨는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정부수립 당시 밝힌 대로 상해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잇고 있는 만큼 새 현판은 윤 의사의 정신적 지주이자 거사를 도모하고 의기투합했던 백범 선생님의 글씨를 집자해 걸었으면 좋겠다”며 “광복 60년인 올해에도 정부가 친일 청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나같이) 법을 위반하는 국민이 계속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의사 영정도 친일 행각이 드러난 고 장우성 화백이 그린겁니다. 친일 인사들이 그린 애국지사들의 영정을 다시 제작하도록 청원하는 등 앞으로 민초로서 할 수 있는 친일청산 운동을 벌일 작정입니다.”
서천사랑시민모임을 거쳐 1999년 지역신문 <뉴스서천>을 창간해 대표를 맡고 있는 그는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일이야 말로 겨레의 완전한 해방인 통일을 앞당기는 지름길’이라는 소신을 위해 살겠다”고 다짐했다. 서천/<한겨레>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인터뷰] 충의사 사당 박정희친필 떼어내 부순 양수철씨 “윤봉길 의사께 죄송한 마음을 조금은 덜었습니다.” 지난 1일 윤 의사를 모신 ‘충의사’ 본전의 박정희 전 대통령 친필 현판을 떼내어 부숴버린 양수철(46·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씨는 2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광복 60년을 맞아 친일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이었다”며 밝게 웃었다.
그는 “윤 의사는 나라의 광복과 겨레의 번영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리고 일제에 항거한 분인데, 그 영혼을 추모하는 집 이름을 친일한 사람이 썼다는 건 민족이 부끄러워 해야 할 일”이라며 “현판을 떼내고 부숴 독립기념관에서 전시하는 내내 윤 의사께 사죄드렸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가 충의사 현판 교체를 주장한 것은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을 맡고 있던 2년여전 부터로, 한 회원이 박 전 대통령의 친일 행적을 제보하면서 비롯됐다. “‘충의사’ 현판을 바꿔달아 이 땅에 깊이 뿌리내려 청산되지 않고 있는 친일 굴레에서 벗어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각계에 진정을 냈지만 어느 기관도 박 전 대통령의 친필 현판을 바꾸려 하지 않았다. “누더기가 된 친일행위진상규명법, 지지부진한 과거사법 처리 과정에서 보듯 차일피일 미루면 잘못된 역사와 반민족행위를 바로잡을 기회마저 잃게 될 겁니다. 꼭 필요하지만 나라가 못하는 일이라면 국민이 나서는 게 후손을 위해 목숨바친 선열에 대한 예의라고 봅니다.”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