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인력 230여 명 투입…사상 최대 규모될듯
회계장부ㆍ지정신청 서류 확보에 주력
회계장부ㆍ지정신청 서류 확보에 주력
사행성 게임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24일 오후 한국게임산업개발원으로부터 경품용 상품권 지정업체로 선정된 19개사를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오후 2시께 검사 10여 명과 수사관 등 230여 명을 서울에 있는 18개사와 경기도 성남시 소재 1개사 등 경품용 상품권 지정업체 19개사에 10~20명씩 분산시켜 회계자료와 지정 관련 서류 등 자료 확보에 나섰다.
검찰이 230여 명의 수사 인력을 투입해 19개 업체를 한꺼번에 압수수색한 전례가 없어 경품용 상품권 지정 과정에서 정치권과 문화관광부 등 관련 기관에 비자금을 동원한 치열한 로비가 있었다는 의혹과 폭력 조직 자금 유입 여부에 대한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검찰이 전날 상품권 지정기관인 개발원에서 확보한 50여 상자 분량의 압수물 가운데 상당 부분은 2005년 3월 인증제가 시행될 때 상품권 발행을 신청한 업체들과 7월 지정제 시행 후 신청한 업체들 자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인증제로 상품권 제도가 바뀐 뒤 선정된 업체들 22곳이 모두 허위 서류를 제출했다가 인증이 취소된 사실에 주목, 이들 업체가 제출한 자료와 현재 지정업체 19곳의 자료를 분석해 우선 수사 대상 업체를 가릴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증거 인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압수수색 일정을 빨리 잡아 한꺼번에 하게 됐다. 개발원에서 확보한 자료와 함께 주말까지 분석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검찰은 인증제 시행 무렵 문화관광부와 여권 실세 등으로부터 특정업체가 상품권 발행업체로 인증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탁이 있었다는 의혹과 관련, 경영 상태가 나쁜 업체들이 허위로 서류를 제출한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인증제 시행 후 22개 상품권이 인증을 받았지만 문화관광부 등이 관련 자료를 검토한 결과 모두 서류를 허위 기재한 사실이 드러나 모든 업체의 인증이 취소됐다.
그러나 이중 11개 업체는 5개월 뒤 상품권 지정제 도입으로 진입 장벽이 낮아지자 경품용 상품권 발행이 가능해졌다. 19개 업체 중 5개 업체는 2004년 적자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지정 이후 수십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검찰은 서울보증보험에서 보증을 받는 과정에 자본 상태가 좋지 않았던 일부 업체가 로비를 했고, 보증금으로 낸 20~30억 원의 자금이 조직폭력배에서 나왔다는 의혹도 압수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르면 다음 주중 상품권 지정을 개발원에 위탁한 문화관광부와 상품권 지급 보증을 맡은 서울보증에서 각종 공문과 보증 관련 서류 등을 넘겨 받을 계획이다. 이광철 조성현 기자 minor@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러나 이중 11개 업체는 5개월 뒤 상품권 지정제 도입으로 진입 장벽이 낮아지자 경품용 상품권 발행이 가능해졌다. 19개 업체 중 5개 업체는 2004년 적자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지정 이후 수십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검찰은 서울보증보험에서 보증을 받는 과정에 자본 상태가 좋지 않았던 일부 업체가 로비를 했고, 보증금으로 낸 20~30억 원의 자금이 조직폭력배에서 나왔다는 의혹도 압수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르면 다음 주중 상품권 지정을 개발원에 위탁한 문화관광부와 상품권 지급 보증을 맡은 서울보증에서 각종 공문과 보증 관련 서류 등을 넘겨 받을 계획이다. 이광철 조성현 기자 minor@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