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국길 막히자 다시 지방으로
5일 출국하려다 뒤늦게 출국금지 사실을 알게 된 유진룡 전 문화관광부 차관은 “어떻게 이렇게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냐”며 검찰 조처에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금품로비 의혹에 대해선 “지금 당장이라도 검찰에 나가 조사받을 용의가 있다”며 강하게 부인했다.
지난달 경질 파문 이후 한달 가량 지방에 머물러온 그는 출국을 위해 서울 광진구 구의동 자택에 들렀다가 출국이 좌절되자 이날 다시 지방으로 떠났다. 이날도 10여명의 기자들이 그의 아파트 주변에 진을 쳤다. 다시 지방으로 떠나는 이유를 묻자 “내가 집에 있으면 가족들이 피해를 입기 때문”이라고 했다.
유 전 차관은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국외로 나가겠다는 말은 이미 오래전부터 해왔고, 필요하면 검찰 조사든 뭐든 당장이라도 응하겠다고 밝혀왔다”며 “마치 조사를 피해서 나가려는 것처럼 보이게 돼서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일주일 전에 문화부 쪽에 (잠잠해질 때까지) 국외로 나가 있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며 “검찰 조사가 필요하다면 빨리 받고 싶다고도 밝혔는데, 아마도 (문화부가) 검찰에 연락을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의 경질 문제와 관련한 국회의 국정조사에는 결코 나가지 않겠다고 여러차례 말해왔으며, 지금도 생각에 변함이 없다”며 “검찰의 수사에는 언제든 나가겠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에는 당당히 응하되, 국회에서의 말싸움에는 휘말리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른바 ‘배째드리겠다’라는 발언과 관련해 양정철 청와대 비서관이 자신을 고소하려는 데 대해서는 “양 비서관의 자유이기 때문에 알아서 할 일”이라고 말했다.
유 전 차관은 경품용 상품권을 처음으로 도입한 2002년 2월 주무 국장인 문화산업국장이었다. 그는 “그 제도를 도입할 당시에는 게임기에 상품권 배출 기능이 없었고, 상품권은 경품용 곰인형을 대신한 것이었다”며 “게임장의 사행성 문제는 게임기에 상품권 배출 기능이 생기면서 확산된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영상물등급위원회에 ‘바다이야기’ 심의 통과를 불허하라고 요청했느냐는 질문에는 “‘스크린경마’가 진화해 ‘바다이야기’가 나왔고, 이어 사행성 피시방이 생겨났다”며 “특정 게임을 막을 경우 풍선효과로 새로운 사행성 게임이 생겨나기 때문에 문화부는 심의 불허를 통해 근본적으로 사행성 게임 자체를 막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재성 기자, 연합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