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초 검정결과가 발표되는 일본 후소사의 역사교과서 개정판이 한층 극우적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교육인적자원부가 자문위원단을 구성하기로 하는 등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교육부는 6일 이달 말까지 역사 관련 학회와 기관 대표, 교수, 학자로 자문위원단과 교과서 분석팀을 꾸려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한 장·단기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윤웅섭 학교정책실장을 반장으로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반’을 구성했다.
교육부는 검정결과가 발표된 뒤에는 교과서 분석팀을 통해 후소사 개정 교과서를 정밀 분석한 뒤 이 교과서가 채택되지 않도록 시민단체를 간접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발표 이전에는 국내 및 외국학자 30여명으로 언론 기고단을 구성해 양국 언론에 글을 싣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으나 일본 언론의 부정적인 자세로 일본 쪽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교육부 관계자는 전했다. 이와 함께 ‘한·일 역사 공동연구위원회’ 운영 기간을 늘리고 그 구실을 강화하는 동시에 공동연구 주제에 역사교과서 문제를 포함하고 역사교육 분과를 신설하는 방안도 제의하기로 했다.
또 7~8월까지 역사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편찬제도 개선 방안 등을 담은 ‘국내 역사교육 발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박삼서 교육과정정책 과장은 “국사교육발전위원회가 발전방안을 마련 중인데 △국사의 독립교과화 △시수 확대 △전공 교사의 교수 의무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며 “안이 나오면 토론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