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등 시설 크게 부족
지난해 화장이 매장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일 지난해 전체 사망자 24만3886명 가운데 12만8251명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러 화장률이 52.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2004년 49.2%보다 3.4%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화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부산(74.8%)이며, 다음 인천(69.0%), 서울(64.9%), 울산(61.7%) 차례였다. 전남은 27.2%로 화장률이 가장 낮았고, 충북(29.7%)이 뒤를 이었다.
이상인 복지부 노인지원팀장은 “정부의 화장서약 운동 등 화장 문화 확산 정책으로 최근 5년 동안 화장률이 평균 3.5%씩 늘었다”며 “2010년께에는 7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화장시설은 모두 46곳에 불과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수도권은 하루 적정처리 건수(화장로당 2~3건)를 넘는 평균 4.7건의 화장이 이뤄지고 있다. 화장시설 설치에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는 까닭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