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이문열씨
연재소설 통해 햇볕정책·386세대 ‘원색공격’
다시 선거철이 돌아온 것인가. 소설가 이문열(58)씨가 ‘활동’을 시작했다. 칼럼과 강연 등에서 문제 있는 정치적 발언을 계속해 온 그가 현 정부와 ‘386 세대’ 정치인, 김대중 전 대통령과 그의 지지세력, 시민단체, ‘진보 언론’ 등을 거칠게 비판하는 내용의 소설을 발표한 것이다.
현재 미국에 머물고 있는 이씨는 계간지 <세계의 문학> 겨울호에 발표한 장편 연재소설 ‘호모 엑세쿠탄스’(처형하는 자) 마지막 4회분에서 참여정부 출범에 불만을 품은 기득권 세력의 입을 빌려 정치적으로 민감한 발언들을 거침없이 쏟아냈다. 문제의 발언들은 주로 이 소설 36~37장에서 묘사되는 ‘한야(寒夜)대회’에 참석한 이들의 입을 빌려 표출된다. 참여정부 출범 뒤의 상황이 ‘마치 추운 밤 같다’고 느끼는 이들이 참석한 토론회가 ‘한야대회’다.
“주적(主敵)을 잃어버린 군대에게 이 밤은 춥습니다. (…) 신속하면서도 적절한 반격으로 연평해전을 승리로 이끈 제독은 진급에서 누락되어 퇴역하고, 북한의 기습 공격을 받고도 주적이 아니라서 어물거리다가 군함과 장병을 아울러 잃은 제독은 시말서 한 장 쓰지 않았다고 합니다.”
“어쩌면 김대중은 그 두 가지 억지스러운 수사(=햇볕, 포용)가 붙은 정책을 통해 남한의 보수 우파들에게 끔찍한 복수를 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그들에게 살아 있어도 죽느니보다 못한 김정일 체제 아래서의 삶이나 보트 피플로 망망대해를 떠도는 악몽으로 앙갚음한 것이 아닌지 (…) 그리고 수십 년 자신을 지지해 준 사람들에게는, 평양 시민 다음가는 이등 국민으로 김정일에게 빌붙어 살 수 있는 길을 터 줌으로써, 그들의 오랜 지지에 보상하려 했는지도 모릅니다.”
토론회 참가자들은 이밖에도 “새로 주군이 된 정권을 위해 파렴치하게 짖어 대는 것을 진보로 아는 친여 매체” “한국판 조잡한 문화혁명의 임표”(=노무현) “민주화 투쟁이란 이름 아래 시뻘건 의도를 감추고 대한민국을 밑바탕부터 허물고 있는 주사파 수령론의 무리들”과 같은 언사를 거침없이 휘두른다.
에필로그에 앞선 제44장에서 작가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텔레비전 중계로 지켜보던 식당 손님들의 대화를 중계하는데, 여기서도 특유의 정치적 발언은 돌출한다. “(탄핵 역풍으로)아마도 386 찌꺼기들이나 홍위병 세력의 요행수 국회 진출은 늘겠지만, 그 탄돌이 의원들이 많을수록 오히려 이 정권의 수명을 빨리 갉아먹게 될걸.”
이문열씨의 소설에 대해 평론가 이명원씨는 “선거를 앞두고 또 시작했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문열씨가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합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좋지만, 지금처럼 감정적이며 선동적인 언사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 하는 한 작가로서는 계속 잊혀져 갈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학자 강준만 전북대 교수도 “이문열씨가 오해에서 비롯된 과장된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문제적인 글들을 계속 쓰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이씨가 차분하게 성찰과 포용을 하면서 문학에만 정진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문열씨는 1992년 12월 대통령선거 직전 부산 지역 기관장들이 여당 후보의 당선을 위해 회동한 ‘초원복집’ 사건이 터졌을 때, 당시 <조선일보>에 연재하던 소설 <오디세이아 서울>을 통해 오히려 사건을 들춰낸 도청의 배후만을 문제삼는 식으로 본질을 흐리기도 했다. ‘호모 엑세쿠탄스’는 내년 초 책으로 출간될 예정이며, 이씨는 이에 맞추어 연말께 귀국했다가 연초에 다시 미국으로 건너갈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또 선거철인가…이문열씨 ‘활동’ 개시
또 선거철인가…이문열씨 ‘활동’ 개시
이문열씨는 1992년 12월 대통령선거 직전 부산 지역 기관장들이 여당 후보의 당선을 위해 회동한 ‘초원복집’ 사건이 터졌을 때, 당시 <조선일보>에 연재하던 소설 <오디세이아 서울>을 통해 오히려 사건을 들춰낸 도청의 배후만을 문제삼는 식으로 본질을 흐리기도 했다. ‘호모 엑세쿠탄스’는 내년 초 책으로 출간될 예정이며, 이씨는 이에 맞추어 연말께 귀국했다가 연초에 다시 미국으로 건너갈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