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국 최종명단 제출…노조 항의집회.삭발식
'퇴출 후보 3%' 선정 마감일인 15일 서울시는 최종 명단 선정에 고심하는 간부들과 자신이 명단에 포함됐는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직원들로 하루종일 뒤숭숭한 분위기였다.
시는 이날 오후 6시까지 전출 대상자 명단(240여명 추정)을 모든 실.국.본부로부터 받았으나 공무원노조가 시청 별관에서 항의집회와 삭발식을 갖는 등 일부 직원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분위기였다.
◇ 간부는 `고심', 직원은 `전전긍긍' = 처음 도입된 `퇴출 후보 3% 의무 선정' 제도를 놓고 평가를 하는 간부나 평가 대상인 직원 모두 불안해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실.국장이나 과장들은 겉으로는 일단 `원칙'을 강조했다. 시장의 의지가 워낙 확고한데다 `일하는 조직 만들기'라는 대의에는 공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퇴출 후보자 명단' 제출의 책임을 진 실.국장들이 사실상 직원들을 속속들이 알지 못해 명단 선정의 총대는 대부분의 실.국에서 과장들이 메는 양상이었다.
한 과장은 "시에서 편법적인 퇴출 후보 선정에 대한 엄단 방침을 밝힌 만큼 원칙대로 갈 수밖에 없다"며 "팀장이나 신망 있는 직원들과 협의해 무능하거나 태만한 직원들로 명단을 짰다"고 말했다.
다른 과장도 "원칙대로 무능.불성실 직원을 찾아보면 1-2명은 꼭 있다"며 "온정주의 등에 휩쓸리지 않고 명단을 작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의 속내는 복잡하다. 평가의 객관적 잣대나 선정의 명확한 기준이 없어 결국 모든 책임과 부담을 국.과장이 다 짊어져야 하는 제도의 허술함 때문이다. 또 다른 과장은 "객관적 기준이 있었다면 부담이 적었을 것이라는 얘기가 이구동성으로 나온다"며 "퇴출 후보로 뽑힌 직원들에게도 큰 부담이 될 텐데 어떻게 해야 하냐는 고민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인사 대상자인 직원들은 하루종일 전전긍긍하는 분위기였다. 직원들이 모인 곳이면 휴게실, 엘리베이터 안, 복도 등 어디서든 인사 얘기가 오갔고 `누가 3%에 들어갔는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 `퇴출후보자' 성토 잇따라 = 서울시는 일단 이날 시청 내 모든 실.국.본부.사업소로부터 `퇴출 후보 3%'의 명단 제출을 받았으나 새 인사 제도 후유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우선 조직 내 신뢰의 문제다. 3% 명단에 들었던 사람이 설령 별 탈 없이 복귀한다 해도 `퇴출 후보'로 지목됐다는 아픈 경험 탓에 국.과장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퇴출 후보'로 지명된 사람으로서는 그 자체가 큰 불명예인데다 경력에도 흠집이 생기는 일이어서 복귀 후에도 상당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이날 오전 본청 서소문 별관의 한 부서에서는 `퇴출 후보'로 선정됐다는 통보를 받은 직원이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의자를 집어던져 옆 책상의 유리가 박살내기도 했다. 서울시공무원노조 게시판에는 퇴출 대상이 된 공무원들의 성토성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한 직원은 `제가 3%에 포함됐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는 일은 많이 하지 않지만 우리과에 근무한지 가장 오래됐고 근무평점을 한 번만 더 받으면 진급할 사람이라 안되며, △△는 감시단에 빠지면 다시 나오기 힘들어 안되니 팀장들 의견을 무시하고 (과장이 나를) 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부서에 전입해 낯선 업무에 힘들게 적응하며 열심히 일했는데...과장과 다른 소수직렬의 서러움이 밀려온다"고 말했다. 퇴직을 3개월 앞두고 퇴출 후보자 명단에 포함됐다는 한 간부는 "32년 근무하면서 열심히 살았는데 퇴출돼야 하나. 아들과 며느리한테 뭐라 말해야 하는지...내 명예 누가 책임져 주느냐"고 하소연했다. 서울시공무원노조의 경우 `3% 퇴출후보 의무화' 발표 이후 노조 가입자가 급증, 평소 하루 1~2명이던 가입자가 최근에는 15~20명으로 늘어 이달초 3천300여명이던 노조원이 지금은 3천600여명으로 늘었다. ◇ 노조, 항의집회.삭발식 = 이날 저녁 하이서울 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노조원 30여명은 시청 별관 뒷쪽에서 `3% 퇴출후보 의무화'에 항의하는 집회를 가졌다. 오형민 하이서울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공무원 사회 개혁의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주관적인 느낌만으로 시행하는 `3% 퇴출후보 의무화'는 너무나 불합리하다"며 "현장시정 추진단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오 위원장과 김민호 통합노조준비위원회 대변인은 집회 후 `3% 퇴출후보 의무화'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삭발을 했다. 한편 임승룡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오 시장 스스로 산하 공사 사장에 인수위원회 출신 인사들을 심는 등 연고에 얽매인 인사를 해왔다"며 오 시장의 인사를 문제삼기도 했다. 임 위원장은 "하위직 공무원이 상향 평가를 해 간부 공무원을 퇴출시키는 서초구의 제도도 바람직하다"며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명확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초구는 6∼7월 인사 때 하위직 공무원로부터 `일 안 하는' 4, 5급 국.과장의 명단을 받아 소명 기회를 준 뒤 문제가 있을 경우 주차단속 등 단순 업무에 투입할 계획이다. 안승섭.정성호 기자 ss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러나 이들의 속내는 복잡하다. 평가의 객관적 잣대나 선정의 명확한 기준이 없어 결국 모든 책임과 부담을 국.과장이 다 짊어져야 하는 제도의 허술함 때문이다. 또 다른 과장은 "객관적 기준이 있었다면 부담이 적었을 것이라는 얘기가 이구동성으로 나온다"며 "퇴출 후보로 뽑힌 직원들에게도 큰 부담이 될 텐데 어떻게 해야 하냐는 고민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인사 대상자인 직원들은 하루종일 전전긍긍하는 분위기였다. 직원들이 모인 곳이면 휴게실, 엘리베이터 안, 복도 등 어디서든 인사 얘기가 오갔고 `누가 3%에 들어갔는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 `퇴출후보자' 성토 잇따라 = 서울시는 일단 이날 시청 내 모든 실.국.본부.사업소로부터 `퇴출 후보 3%'의 명단 제출을 받았으나 새 인사 제도 후유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우선 조직 내 신뢰의 문제다. 3% 명단에 들었던 사람이 설령 별 탈 없이 복귀한다 해도 `퇴출 후보'로 지목됐다는 아픈 경험 탓에 국.과장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퇴출 후보'로 지명된 사람으로서는 그 자체가 큰 불명예인데다 경력에도 흠집이 생기는 일이어서 복귀 후에도 상당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이날 오전 본청 서소문 별관의 한 부서에서는 `퇴출 후보'로 선정됐다는 통보를 받은 직원이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의자를 집어던져 옆 책상의 유리가 박살내기도 했다. 서울시공무원노조 게시판에는 퇴출 대상이 된 공무원들의 성토성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한 직원은 `제가 3%에 포함됐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는 일은 많이 하지 않지만 우리과에 근무한지 가장 오래됐고 근무평점을 한 번만 더 받으면 진급할 사람이라 안되며, △△는 감시단에 빠지면 다시 나오기 힘들어 안되니 팀장들 의견을 무시하고 (과장이 나를) 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부서에 전입해 낯선 업무에 힘들게 적응하며 열심히 일했는데...과장과 다른 소수직렬의 서러움이 밀려온다"고 말했다. 퇴직을 3개월 앞두고 퇴출 후보자 명단에 포함됐다는 한 간부는 "32년 근무하면서 열심히 살았는데 퇴출돼야 하나. 아들과 며느리한테 뭐라 말해야 하는지...내 명예 누가 책임져 주느냐"고 하소연했다. 서울시공무원노조의 경우 `3% 퇴출후보 의무화' 발표 이후 노조 가입자가 급증, 평소 하루 1~2명이던 가입자가 최근에는 15~20명으로 늘어 이달초 3천300여명이던 노조원이 지금은 3천600여명으로 늘었다. ◇ 노조, 항의집회.삭발식 = 이날 저녁 하이서울 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노조원 30여명은 시청 별관 뒷쪽에서 `3% 퇴출후보 의무화'에 항의하는 집회를 가졌다. 오형민 하이서울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공무원 사회 개혁의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주관적인 느낌만으로 시행하는 `3% 퇴출후보 의무화'는 너무나 불합리하다"며 "현장시정 추진단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오 위원장과 김민호 통합노조준비위원회 대변인은 집회 후 `3% 퇴출후보 의무화'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삭발을 했다. 한편 임승룡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오 시장 스스로 산하 공사 사장에 인수위원회 출신 인사들을 심는 등 연고에 얽매인 인사를 해왔다"며 오 시장의 인사를 문제삼기도 했다. 임 위원장은 "하위직 공무원이 상향 평가를 해 간부 공무원을 퇴출시키는 서초구의 제도도 바람직하다"며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명확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초구는 6∼7월 인사 때 하위직 공무원로부터 `일 안 하는' 4, 5급 국.과장의 명단을 받아 소명 기회를 준 뒤 문제가 있을 경우 주차단속 등 단순 업무에 투입할 계획이다. 안승섭.정성호 기자 ss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