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연세대 학부모 2명 금품전달 개입 혐의…협회로 수사확대 가능성
검찰이 고려대와 연세대의 아이스하키 특기생 선발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에 나서자, 1998년 대한아이스하키협회 고위 간부까지 구속됐던 ‘아이스하키 입시 비리’가 재현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이명재)는 고려대와 연세대 아이스하키 선수의 학부모 2명이, 전·현직 코칭스태프에게 다른 학부모를 소개해주고 금품 전달에 개입한 혐의를 잡고 조사 중인 것으로 2일 확인됐다. 검찰은 이에 앞서 지난달 30일 학부모들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를 사고 있는 고대 아이스하키팀 전 감독 최아무개씨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았으나, 아직 체포하지 못했다.
검찰은 또 최씨를 포함해 두 대학의 전·현직 감독·코치 등에 대해 출국금지 조처를 내렸고, 서울 시내 고교 아이스하키 감독 5~6명도 불러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검찰 관계자는 “코칭스태프에게 입학 사례금을 건네고도 자녀를 입학시키는 데 실패한 학부모 쪽에서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계좌추적 등을 벌이고 있지만 학부모들과 감독·코치 사이에 현금이 오갔기 때문에 혐의 입증이 쉽지는 않다”고 밝혔다.
검찰 수사망을 피해 잠적한 최 전 고대 감독은 1998년 고대 코치 신분으로 아이스하키 비리에 연루돼 처벌받았던 인물이다. 또 참고인 조사를 받은 학부모 가운데 1명이 대한아이스하키협회의 공금 유용 의혹 등을 구체적으로 진술함에 따라, 검찰이 협회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8년 당시 검찰은 전·현직 고교·대학 감독과 코치 등 10여명과 학부모 6명, 그리고 당시 아이스하키협회 고위 간부였던 박아무개씨를 구속 기소한 바 있다.
1998년 당시 수사팀의 한 관계자는 “아이스하키의 경우 우수 학부모들이 학교 쪽에 스카우트비를 요구하고, 학교 쪽은 실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의 학부모로부터 돈을 받아 스카우트 비용을 지급하는 관행이 있다”며 “1998년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에도 불구하고 학부모, 고교, 대학, 협회 등이 지금까지 암묵적으로 유지해 온 관행이기 때문에 이번 사건이 협회 등으로까지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수사팀의 또다른 관계자는 “일단은 두 대학 입시비리에 초점을 맞추고 수사를 벌이고 있으며, 아직 수사 초반이라 아이스하키협회까지 수사를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할 만한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