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충남 연기군 남면 주민들이 면사무소에서 행정도시 예정지 도면을 앞에 놓고 면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행정도시 예정지 주민 도면열람 충남 연기군청과 면사무소, 공주시청에는 24일 오전부터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 및 주변지역 공람을 하려는 주민들의 발길과 문의가 잇따랐다. 전 지역이 예정지와 주변지에 포함된 연기군 남면사무소에는 이날 오후 3시까지 120여명의 주민들이 공람을 했다. 예정지 주민들은 ‘시가 보상이 가능할 지’ 등을 걱정했으며, 주변지역 주민들은 ‘언제까지 개발이 제한될 지’를 물어보며, 지번이 표기된 도면까지 일일이 챙겨보기도 했다. 임중철(76·남면 진의리)씨는 “700여년간 일가가 모여 살던 고향이므로 정부가 이같은 특성을 살려 예정지 안에 임씨 정착촌을 제공했으면 좋겠다”며 “행정도시에는 이 지역의 유적과 문화 지킴이도 필요한 만큼, 부안 임씨가 정착촌을 이루고 전통문화를 계승해 나가는 역할을 맡겼으면 한다”고 바램을 표시했다. 주민들은 또 보상 기준이 될 공시지가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달 말까지인 표준공시지가 이의 신청을 준비하는 주민들도 많았다. 전아무개(55·남면 송담리)씨는 “표준공시지가가 1㎡에 2만8000원(평당 약 9만2천원 가량)으로 나왔는데, 시세가 평당 18만원이므로 2배이상 높혀 조정해야 한다”며 이의 신청을 했다. 송정리 임아무개(41)씨도 “땅 시세가 평당 12만원을 넘는데 표준공시지가는 1㎡에 2만2000원(평당 약 7만2천원 가량)으로 차이가 많이 난다”며 이의신청서를 내는 등 이날까지 13명이 이의를 제기했다. 남면사무소 이은정(38)씨는 “남면의 표준공시지가만 238필지인데 해당 필지 주민 모두 이의 신청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연말께 토지 보상을 앞두고 있어 개별공시지가가 발표되는 올 7월에는 이의 신청 업무가 폭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사정은 공주 장기면 등 다른 예정지 등에서도 공통된 현상으로 보상가 논란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