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흥사단, YWCA, 반부패국민연대 등 2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 흥사단 강당에서 일본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반대 100만명 서명운동 선포식을 마친 뒤 서명식을 열고 있다. 탁기형 기자 khtak@hani.co.kr
서울흥사단과 재경독도향우회 등 20여개 시민단체는 28일 서울 대학로 흥사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후 피해국가에 대한 반성 없는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안보리는 유엔에서 가장 강력한 기구임을 고려할 때, 충분한 도덕성과 높은 수준의 국제적 신뢰가 요구된다”며, 일본은 진출에 앞서 △전쟁범죄에 대한 공식적 사과와 피해자 보상 △독도 관련 공식 사과와 왜곡된 역사교과서 검인정 불허 등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29일부터 인터넷 홈페이지(vetojapaneseunambition.org)를 열어 ‘일본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일 계획이다. 서수민 기자 wikka@hani.co.kr
요미우리 “한국 교과서 독도기술 잘못”
아사히“양쪽 주장 병기…해결 먼길”
우파 성향의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8일 독도문제와 관련한 한국의 중학교 국사교과서 기술이 잘못돼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해설기사를 통해 1905년 일본 시마네현의 독도 편입이 “한국인들 사이에 러-일 전쟁이 한창일 때 대한제국 말기의 혼란을 틈타 일본이 약탈해 간 것으로 오해되고 있다”며 “한국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일본은 러-일 전쟁 중에 독도를 강제적으로 그들의 영토에 편입시켰다’고 적혀 있으나 일본이 무력을 포함한 강제력을 행사한 사실이 없으며 한국의 항의도 없었다”고 말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삼국사기>에 우산국이 신라에 정복됐다는 기술은 있으나 우산국에 독도가 포함됐는지는 나와 있지 않고 △조선왕조가 15세기 이후 울릉도 주민을 본토로 불러들여 섬은 무인도가 됐으며 △1618년에도 막부가 돗토리번의 2가구에 울릉도 조업 도항을 허가하고 중계지인 독도에도 도항을 인정했으며 △막부가 조선왕조의 항의를 받아 울릉도가 조선영토인 것을 인정하고 1696년에 일본인의 도항을 금지했으나 독도 도항은 그대로 인정해 독도를 어업기지로 사용한 것은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는 논리를 폈다. <아사히신문>은 해설기사에서 독도문제의 역사적 경위와 국제법적 논란 등을 둘러싼 양쪽의 주장을 나란히 싣고 해결의 길이 멀다고 전했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한일관계 민관 대책기구 이달말께 윤곽 독도 영유권과 역사 왜곡 문제 등 한-일 관계를 다루기 위한 민·관 합동 대책기구가 이달 말께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대책기구는 우선 정부 중심으로 틀을 짜되 단계적으로 민간단체의 참여를 확대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 쪽에서는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외교통상부와 교육인적자원부, 문화관광부 등 관련 부처가 모두 나설 것”이라며 “민간 쪽에선 대여섯 개 단체가 단계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민간단체는 대책기구 구성에 앞서 운영 방식과 목표를 분명히 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대책기구를 현재 국무총리실 산하에 있는 ‘한-일 협정 문서 공개 등 대책기획단’이나 대일 정책을 다루는 외교부 아래 두는 방안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으나, 일부 직책을 전문 외교관이 맡는다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