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시장 “본관 자리에”
정부청사 예정 논란 쐐기 이명박 서울시장은 5일 “내년 상반기께 태평로 본관 자리에 새청사 공사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뚝섬 서울숲 식목일 행사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시청사를 다른 곳에 이전한다면 1조5천억원 정도가 들지만 지금 현재 자리에 신축한다면 1/10인 1500억원이 든다”며 “일제시대 때 지어진 앞쪽 건물은 시자료 박물관으로 이용하고 뒤에 증축된 부분은 헐어 20여층 규모의 새 청사를 신축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행정중심도시 조성 합의 이후 정부청사 예정지로 논란을 빚은 서울시청사 문제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 보존될 건물은 광장쪽 정면의 시계가 걸린 건물(1926년 완공·연면적 2472평)로 현재 서울시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으며, 헐릴 부분은 1955~86년 이후 6차례에 걸쳐 증·개축된 3665평 규모다. 신연희 서울시 행정국장은 “공무원 1인당 법정 사무면적인 2.1평에 견줘 현재 서울시 평균은 1.7평으로 비좁은 데다 시청 건물이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어 서류 결재 때나 민원인이 방문할 때 애를 먹고 있어 청사 신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청은 태평로1가 31번지 본관 건물과 서소문 별관을 포함해 남산 옛 안기부 건물에 소방방재센터, 건설안전관리본부, 청계천복원추진본부 등이 들어서 있다. 이 가운데 건설안전관리본부는 이달 중순께 충정로 동아일보 빌딩을 임대해 옮길 예정이다. 서울시청은 1980년대 초반 서초동 대법원 터로의 이전이 거론된 뒤 이전-신축 논란이 계속돼왔다. 1995년 최병렬 당시 서울시장은 현재 태평로 자리에 신축할 것을 공식 발표했으나, 이듬해인 1996년 초대 민선시장이었던 조순 시장은 이를 백지화하고 용산 이전을 발표했다. 이 논란은 최근 행정중심도시특별법이 불거지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달 중순 열린우리당 김한길 수도권발전대책특위 위원장이 행정중심도시 조성 이후 정부 청사를 서울시청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하자 서울시는 반발해왔다.
이유주현기자 edigna@hani.co.kr
정부청사 예정 논란 쐐기 이명박 서울시장은 5일 “내년 상반기께 태평로 본관 자리에 새청사 공사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뚝섬 서울숲 식목일 행사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시청사를 다른 곳에 이전한다면 1조5천억원 정도가 들지만 지금 현재 자리에 신축한다면 1/10인 1500억원이 든다”며 “일제시대 때 지어진 앞쪽 건물은 시자료 박물관으로 이용하고 뒤에 증축된 부분은 헐어 20여층 규모의 새 청사를 신축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행정중심도시 조성 합의 이후 정부청사 예정지로 논란을 빚은 서울시청사 문제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 보존될 건물은 광장쪽 정면의 시계가 걸린 건물(1926년 완공·연면적 2472평)로 현재 서울시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으며, 헐릴 부분은 1955~86년 이후 6차례에 걸쳐 증·개축된 3665평 규모다. 신연희 서울시 행정국장은 “공무원 1인당 법정 사무면적인 2.1평에 견줘 현재 서울시 평균은 1.7평으로 비좁은 데다 시청 건물이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어 서류 결재 때나 민원인이 방문할 때 애를 먹고 있어 청사 신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청은 태평로1가 31번지 본관 건물과 서소문 별관을 포함해 남산 옛 안기부 건물에 소방방재센터, 건설안전관리본부, 청계천복원추진본부 등이 들어서 있다. 이 가운데 건설안전관리본부는 이달 중순께 충정로 동아일보 빌딩을 임대해 옮길 예정이다. 서울시청은 1980년대 초반 서초동 대법원 터로의 이전이 거론된 뒤 이전-신축 논란이 계속돼왔다. 1995년 최병렬 당시 서울시장은 현재 태평로 자리에 신축할 것을 공식 발표했으나, 이듬해인 1996년 초대 민선시장이었던 조순 시장은 이를 백지화하고 용산 이전을 발표했다. 이 논란은 최근 행정중심도시특별법이 불거지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달 중순 열린우리당 김한길 수도권발전대책특위 위원장이 행정중심도시 조성 이후 정부 청사를 서울시청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하자 서울시는 반발해왔다.
이유주현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