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윤기 동국대 교수 등 ‘전국철학앙가주망네트워크’ 소속 철학자들이 19일 오전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앞에서 삼성 비리에 대한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선언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한 뒤 특검제 도입과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민변 등 60여단체, 서명운동
청와대에도 특검법 수용 촉구
청와대에도 특검법 수용 촉구
이용철 변호사가 청와대 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으로 재직할 때 삼성 쪽으로부터 500만원을 받았다 돌려줬다는 고백이 나오자, 시민단체들은 특검제 수용을 반대한 청와대를 비판하고 특검법 제정을 요구하는 공동대응에 나섰다.
지난 15일 ‘삼성 이건희 일가의 비자금 조성과 경영권 승계 불법행위 진상규명을 위한 국민운동’(약칭 ‘삼성 이건희 불법 규명 국민운동’)을 발족한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60여개 단체는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엄정한 수사를 위한 특검법을 정기국회 폐회 전에 제정할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국민운동은 “청와대는 ‘특검법 거부’ 운운하며 삼성을 감싸고 있다”며 “진실 규명을 바라는 국민의 목소리를 직시해 특검법을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또 “삼성은 제보자와 시민단체를 매도해 상황을 모면하려고만 하고 있고, 검찰과 금용당국은 마지못해 수사에 나섰으며, 정치권은 이해득실만 따지고, 재벌친화적 언론은 ‘경제 걱정’을 내세우는 등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운동은 15일부터 시작한 ‘삼성 불법비자금 진상규명과 특별검사 도입을 위한 국민서명운동’을 계속하는 한편, 오는 22일 낮에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서명운동 동참을 호소할 예정이다. 또 다음달 3일에는 ‘삼성 공화국을 넘어 민주공화국’(가제)이라는 주제의 학술토론회도 계획하고 있다.
전국 철학과 교수와 강사로 이뤄진 ‘전국 철학자 앙가주망 네트워크(PEN)’도 이날 오전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검법 제정을 주장했다. 네트워크는 “이 사회의 각종 권력들이 침묵의 카르텔을 고수하는 데 절망한다”며 “삼성제국 해체를 위한 특검제를 도입하라”고 주장했다. 또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삼성의 사회적 기여·기부금을 사회적 뇌물·매수로 간주할 것이며, 족벌체제가 종식될 때까지 삼성 제품에 대해 범국민적 불매운동을 벌일 것을 시민사회에 제안한다”고 말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