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평우(왼쪽)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대운하 추진으로 인한 문화재 파괴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환경단체 공동검증 제안…지정문화재 177곳 달해
경부운하저지 국민행동은 7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재에 대한 충분한 발굴·조사 없이 대운하가 추진될 경우 역사와 문화를 파괴하는 불도저 운하가 될 것”이라며 “서울 청계천 5.8㎞ 구간을 복원할 때 문화재 발굴·조사비가 6∼8억원 가량 든 점에 비춰, 2100㎞에 이르는 한반도 대운하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비는 수천억원이 들고 문화재 이전·복원까지는 수조원의 예산이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문화재청이 지난 3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자료를 공개하고 “국보 제6호인 충북 충주시 중원 탑평리 7층석탑, 보물 제91호인 경기 여주군 창리 3층석탑 등 지정문화재와 역촌토성, 고모산성 등 매장 문화재가 운하 건설로 위험에 빠지게 됐다”며 “강가에 옹벽을 치거나 배가 떠다니면 토압이 높아져 강을 따라 형성된 유적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화재청은 경부운하 예정 구간인 한강과 낙동강 주변 500m 안에 국보와 보물 등 지정문화재만 72점이 있고, 발굴과 조사가 필요한 매장 문화재는 100m 안에만 177곳이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문화연대 황평우 문화유산위원장은 “이번 조사는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지도상으로만 파악한 것”이라며 “대운하의 전체 구간을 실제로 조사하면 최소 수천점의 문화재가 위험에 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안병옥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대운하의 경제성조차 기초 내용이 왜곡돼 있다”며 “국민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도록 공동검증기구를 만들어 하나하나 따져보자”고 제안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