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 노출 장소
흡연자 40%도 동의…54% “간접흡연 고통”
우리나라 성인 10명 가운데 7명은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피지 못하도록 법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데 찬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권호장(환경운동연합 생명안전본부장) 단국의대 교수팀은 이달 초 전국 성인남녀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더니, 응답자의 54%가 간접흡연 때문에 일상적인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당, 직장, 술집 등 일체의 공공장소에서는 흡연을 법으로 금지하는 데 응답자의 71.3%가 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여성의 84.3%, 비흡연자의 79.8%가 찬성했고, 흡연자의 40.4%도 동의했다.
흡연 전면 금지 구역으로 선정해야 할 곳으로는 관공서(49.1%), 버스정류장(43.4%), 식당(42.6%), 공원(40.6%)의 순으로 꼽혔다. 특히 식당이나 술집 종업원이 간접흡연에서 보호돼야 한다는 데 응답자의 74.1%가 찬성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는 ‘간접흡연이 건강에 매우 해롭다’고 여기는 사람이 조사 대상자 4명 가운데 3명 꼴이었다. 서홍관 국립암센터 금연클리닉 책임의사는 “임산부가 길거리 등 공공장소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면 저체중아 출산 위험이 커지고, 부모가 흡연자인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는 호흡기질환의 발생 위험이 72%나 늘어난다”며 “어쩔 수 없이 담배 연기에 노출되는 피해자를 줄이려면 공공장소의 흡연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