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박정희 글씨 일단 걸자"
민족문제연구소 "하루라도 용납못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글씨를 일단 걸고 교체를 논의하자.” “윤봉길 의사 사당에 일본군 출신의 글씨는 하루라도 용납할 수 없다.” 예산 충의사 현판을 싸고 또다시 문화재청과 시민사회단체가 대립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는 18일 “박 전 대통령의 글씨는 문화재가 아닐뿐더러, 윤 의사 정신을 기리는 사당 현판을 친일 행적이 뚜렷한 일본군 출신 인물의 글씨로 복원하기로 한 데 반대한다”고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문화재청은 애초 상태로 복원한 뒤 철거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하루라도 박 전 대통령의 현판이 걸리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문화재청과 예산군이 이를 강행한다면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함께 다시 철거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15일 문화재 보존의 기본인 ‘원형 유지’ 원칙에 따라 매헌 윤봉길 의사 사당인 충의사의 현판을 박 전 대통령 글씨로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유홍준 문화재청장도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애초 상태로 복원한 뒤 현판 교체 여부를 따져 필요하다면 바꾸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충의사 현판은 1968년 4월 개관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썼으며, 지난 3·1절 아침에 양수철(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씨가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윤봉길 의사의 사당에 친일파 박정희의 현판은 맞지 않는다”며 떼내 부수었다. 양씨는 지난 13일 ‘반성을 하지 않으며 재범 가능성이 크다’는 등의 이유로 법원에서 징역 6월을 선고받았다. 예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민족문제연구소 "하루라도 용납못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글씨를 일단 걸고 교체를 논의하자.” “윤봉길 의사 사당에 일본군 출신의 글씨는 하루라도 용납할 수 없다.” 예산 충의사 현판을 싸고 또다시 문화재청과 시민사회단체가 대립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는 18일 “박 전 대통령의 글씨는 문화재가 아닐뿐더러, 윤 의사 정신을 기리는 사당 현판을 친일 행적이 뚜렷한 일본군 출신 인물의 글씨로 복원하기로 한 데 반대한다”고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문화재청은 애초 상태로 복원한 뒤 철거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하루라도 박 전 대통령의 현판이 걸리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문화재청과 예산군이 이를 강행한다면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함께 다시 철거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15일 문화재 보존의 기본인 ‘원형 유지’ 원칙에 따라 매헌 윤봉길 의사 사당인 충의사의 현판을 박 전 대통령 글씨로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유홍준 문화재청장도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애초 상태로 복원한 뒤 현판 교체 여부를 따져 필요하다면 바꾸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충의사 현판은 1968년 4월 개관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썼으며, 지난 3·1절 아침에 양수철(전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장)씨가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윤봉길 의사의 사당에 친일파 박정희의 현판은 맞지 않는다”며 떼내 부수었다. 양씨는 지난 13일 ‘반성을 하지 않으며 재범 가능성이 크다’는 등의 이유로 법원에서 징역 6월을 선고받았다. 예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