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앞 ‘기자회견 1번지’로
최근 시민단체 단식·시위 단골장소…“대통령 독단 인식 때문”
최근 시민단체들의 ‘기자회견 1번지’는 청와대 앞 청운동사무소다.
2일 청운동사무소 앞에서는 ‘4·15 교육 자율화 조처’에 항의하는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의 1인 시위가 열렸다. 지난달 29일에는 학교급식운동본부의 광우병 위험 쇠고기 수입 항의 기자회견, 그 전날에는 고위공직자의 ‘1가구 1주택’ 의무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 등이 있었다. 그동안 세종로 미국 대사관 앞이나 용산 국방부 정문 앞을 단골 기지회견 장소로 사용해 오던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도 지난달 29일 기자회견 장소를 청운동사무소 부근으로 옮겼다. 정진화 전국교직원 노동조합 위원장은 청와대 앞에서 8일째 단식농성을 벌이고 있다.
1980년대 재야 인사들의 시국선언 발표장은 서울 태평로 성공회 대성당 옆의 ‘세실 레스토랑’이었다. 90년대 중반 이후 시민사회가 발전하면서 그 전통은 98년 문을 연 느티나무카페로 이어졌다. 앞선 노무현 대통령 재임 기간 때도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이 열리기도 했지만, 대통령과 직접 관련돼 있는 ‘인사권’이나 ‘거취’ 등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안진걸 참여연대 민생희망팀장은 “청운동이 기자회견 장소로 주목을 받는 것은 지난해 8월 느타나무카페가 사라진 탓도 크지만, 국민들의 눈에는 새 정부 들어 쏟아진 정책들이 대통령의 독단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쇠고기 수입, 등록금, 교육 자율화 등의 중요한 정책들이 쏟아질 때마다 사람들은 해당 부처가 아닌 청와대로 달려갔다. 박래군 인권운동 사랑방 상임활동가는 “청와대의 독단이 계속되는 한 청운동으로 몰려드는 사람들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