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개 시도에.. 경기도 방역.예찰활동 강화 요청
서울 광진구청 자연학습장에서 사육하던 닭에서 발견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경기도 안성의 한 농장에서 사육하던 AI 감염 조류를 통해 2차감염된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이 농장에서 AI가 발생하기 전 20여일간 가금류 1만3천여 마리와 알 7천260개가 전국 6개 시.도에 출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9일 안성 공도읍 원모씨 소유의 농장에서 8일 AI 발병이 확인돼 씨오리.닭 등 사육 중인 가금류 1만4천여마리와 알 2만개를 살처분했으며, 가금류 등 반출여부를 역학조사한 결과 사전 반출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AI 최장 잠복기간(20일)을 고려해 가금류와 알 반출여부를 조사한 결과, 안성 공도읍 농장은 4월16일부터 5월7일 사이 경기(19건) 4천517마리, 충북(15건) 2천992마리, 대구(2건) 3천660마리, 대전(3건) 900마리, 전북(1건) 900마리, 경남(1건) 60마리를 반출했다.
또 닭.오리.거위 등의 알 7천260개도 9차례에 걸쳐 가축 유통판매상을 통해 해당지역에 반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경기도 방역본부는 전국 6개 시.도에 이 사실을 통보하고 해당농가에 대한 AI 간이검사 실시와 방역 및 예찰활동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한편, 서울 AI 발병 감염경로에 대해 9일 이 성 서울시 경쟁력강화본부장은 "질병관리본부 조사결과 안성 농장의 가금류 수송트럭이 13군데 재래시장을 들렀는데, 성남 모란시장 등 3곳에서 AI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AI의 잠복기간은 7~10일, 넓게 잡으면 3~21일로, 안성 농장이 감염경로인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광진구청이 지난달 24일 모란시장 내 가금류 판매장에서 꿩 2마리를 구입, 자연학습장에서 닭 등 다른 가금류와 함께 사육했는데 꿩 2마리가 모란시장 판매장에 있을 당시 안성의 한 농장(공도읍 원씨 농장)에서 반입된 AI 감염 병아리 200마리 및 오리 60마리와 5~10일간 함께 사육되다 AI에 전염됐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경기도 방역본부 관계자는 "서울시가 광진구청 자연학습장내 닭 AI 감염경로로 밝힌 안성 농장은 지난달 15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AI 정밀검사를 실시해 음성 반응이 나왔었다"며 "AI 잠복기간을 감안하면 당시 모란시장 판매장에서 안성 발생농장에서 반입된 병아리와 오리로부터 폐사 등 임상증상이 나타났어야 하는데 보고된 게 없다며 서울시 발표가 납득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안성=연합뉴스)
광진구청이 지난달 24일 모란시장 내 가금류 판매장에서 꿩 2마리를 구입, 자연학습장에서 닭 등 다른 가금류와 함께 사육했는데 꿩 2마리가 모란시장 판매장에 있을 당시 안성의 한 농장(공도읍 원씨 농장)에서 반입된 AI 감염 병아리 200마리 및 오리 60마리와 5~10일간 함께 사육되다 AI에 전염됐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경기도 방역본부 관계자는 "서울시가 광진구청 자연학습장내 닭 AI 감염경로로 밝힌 안성 농장은 지난달 15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AI 정밀검사를 실시해 음성 반응이 나왔었다"며 "AI 잠복기간을 감안하면 당시 모란시장 판매장에서 안성 발생농장에서 반입된 병아리와 오리로부터 폐사 등 임상증상이 나타났어야 하는데 보고된 게 없다며 서울시 발표가 납득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안성=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