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관 조계종 총무원장 차량 검문검색에 항의하며 30일 오후 서울 미근동 경찰청을 방문한 스님과 신도들이, 경찰청사 앞에서 어청수 청장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법회를 열려 하자 경찰이 인도로 비켜줄 것을 요구해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불교계 `검문’ 반발 확산…“어 청장 사퇴하라”
“종교편향 재발방지 약속 며칠 안돼 발생” 격앙 경찰이 조계종 총무원장이 탄 차량을 검문·검색한 일을 두고 불교계의 반발과 각계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은 30일 “지관 총무원장이 탄 차량을 경찰이 검문·검색한 것은 이명박 정부가 한국 불교를 어떻게 폄훼하고 있는지 상징적으로 드러낸 사건”이라며 “어청수 경찰청장은 즉각 사퇴하고 관련자를 엄중 문책하라”고 촉구했다. 조계종 기획실장이자 대변인인 승원 스님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 조계사 불교문화역사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계사 주변에 배치된 경찰은 29일 오후 4시께 총무원장 스님이 탑승한 차량임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검문을 강행했다”며 “이는 총무원장 스님을 범죄자 또는 범죄 예비자로 간주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승수 국무총리가 찾아와 정부의 종교 편향 재발 방지 약속을 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이런 일이 생겼다”며 “앞으로 아무리 찾아와도 사과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불교 신도들과 조계종 총무원 직원 150여명은 이날 오후 4시30분부터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 앞에 모여 항의 집회를 열었다. 장영욱 조계종 원우회 위원장과 이세용 조계사 종무실장은 경찰청사 앞에서 항의 삭발을 했고, 일부 신도들은 항의 서한 전달을 위해 경찰청으로 들어가려다 이를 막는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 주요 사찰과 불교 시민단체의 상설 연대기구인 ‘시국법회 추진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내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일어난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큰스님에 대한 검문·검색은 한국 불교를 바라보는 현 정부의 오만불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며 △어 청장 퇴진 △조계사 주변 경찰병력 철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 마련 등을 촉구했다. 불교계 일각에서는 스님들의 수련 기간인 하안거가 끝나는 8월15일 이후 전국 모든 사찰의 출입문을 걸어 잠그는 ‘산문 폐쇄’ 등 강력한 대정부 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논평에서 “경찰은 단순 사고라고 발뺌하지만 어청수 경찰청장의 지시나 명령 없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고, 자유선진당도 “어청수 경찰청장은 즉시 불교계와 국민 앞에 사과하고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길윤형 기자, 유상석 인턴기자 charisma@hani.co.kr
“종교편향 재발방지 약속 며칠 안돼 발생” 격앙 경찰이 조계종 총무원장이 탄 차량을 검문·검색한 일을 두고 불교계의 반발과 각계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은 30일 “지관 총무원장이 탄 차량을 경찰이 검문·검색한 것은 이명박 정부가 한국 불교를 어떻게 폄훼하고 있는지 상징적으로 드러낸 사건”이라며 “어청수 경찰청장은 즉각 사퇴하고 관련자를 엄중 문책하라”고 촉구했다. 조계종 기획실장이자 대변인인 승원 스님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 조계사 불교문화역사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계사 주변에 배치된 경찰은 29일 오후 4시께 총무원장 스님이 탑승한 차량임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검문을 강행했다”며 “이는 총무원장 스님을 범죄자 또는 범죄 예비자로 간주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승수 국무총리가 찾아와 정부의 종교 편향 재발 방지 약속을 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이런 일이 생겼다”며 “앞으로 아무리 찾아와도 사과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불교 신도들과 조계종 총무원 직원 150여명은 이날 오후 4시30분부터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 앞에 모여 항의 집회를 열었다. 장영욱 조계종 원우회 위원장과 이세용 조계사 종무실장은 경찰청사 앞에서 항의 삭발을 했고, 일부 신도들은 항의 서한 전달을 위해 경찰청으로 들어가려다 이를 막는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 주요 사찰과 불교 시민단체의 상설 연대기구인 ‘시국법회 추진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내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일어난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큰스님에 대한 검문·검색은 한국 불교를 바라보는 현 정부의 오만불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며 △어 청장 퇴진 △조계사 주변 경찰병력 철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 마련 등을 촉구했다. 불교계 일각에서는 스님들의 수련 기간인 하안거가 끝나는 8월15일 이후 전국 모든 사찰의 출입문을 걸어 잠그는 ‘산문 폐쇄’ 등 강력한 대정부 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논평에서 “경찰은 단순 사고라고 발뺌하지만 어청수 경찰청장의 지시나 명령 없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고, 자유선진당도 “어청수 경찰청장은 즉시 불교계와 국민 앞에 사과하고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길윤형 기자, 유상석 인턴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