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촛불주역 28명 심층면접
“폭력변질 실망” 많아…“충분히 승리”도
“소수라도 계속” “숨고르고 나중에” 대립
“폭력변질 실망” 많아…“충분히 승리”도
“소수라도 계속” “숨고르고 나중에” 대립
| |
‘촛불’의 주역은 모든 시민들이다. 하지만 결정적 계기를 마련한 사람들은 있기 마련이다. 10대들은 촛불집회 초기 예상치 못한 ‘발랄함’으로 어른들을 광장으로 이끌었다. 기존 사회운동 단체들이 나서기도 전에 촛불집회를 준비하고 주도했던 정책카페와 생활카페의 응집력과 실천력도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들은 지금, 지난 100일을 어떻게 평가할까? 누구보다 적극적이었던 이들에게 지금 무엇이 남았고 앞으로는 어떻게 행동할까? <한겨레>는 촛불집회 현장에서 만난 10대 11명과 정책카페 운영진 7명, 생활카페 회원 10명을 심층면접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변질된 촛불은 실망스럽지만, 아직 촛불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한겨레>가 만난 ‘촛불의 주역’들은 눈에 보이는 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한 지난 100일에 대해 피로감과 실망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들은 “촛불은 아직 꺼진 것이 아니다”라고 입을 모았다. <한겨레>가 10대 청소년, 온라인 정책카페와 생활카페 운영진 등 28명을 상대로 벌인 심층 면접에서 이들은 지난 100일을 다양한 목소리로 평가했다. 이들의 대답에서 우선 주목할 것은 촛불이 잦아든 현 상황에 대한 판단이었다. 전체 28명의 응답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3명이 “패배감과 실망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새로운 가능성을 느낀다”는 5명의 응답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특히 청소년 응답자 11명 가운데 8명이 실망감을 표시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10대 청소년들은 주로 폭력적으로 변한 촛불집회 양상에 실망감을 표시했다. 김은진(18·분당 영동여고3)양은 “촛불이 변질된 것에 대해 가장 실망감을 느낀다”며 “처음과 같이 비폭력을 유지하는 촛불집회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집회 과정에 무엇이 가장 아쉬웠냐’는 질문에는,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전체 응답자 28명 가운데 10명은 “계속해서 집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이 부족했다”고 답했고, 6명은 “평화적인 집회를 끝까지 지키지 못한” 점을 아쉬운 대목으로 꼽았다. 이 질문에는 9명이 ‘기타 의견’을 남겼는데, 이름을 밝히지 않은 에스엘아르(SLR) 클럽 관계자는 “촛불집회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면 불씨를 보관하는 시간이 필요했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책반대시민연대’의 운영자 ‘시지프’는 “대책회의가 먼저 소집되고 외부에서 누리꾼이 합류하면서 의견 소통이 안돼 삐걱거린 점이 가장 아쉬웠다”고 말했다.
‘6·10 100만 촛불대행진’이 열린 10일 저녁 경찰이 컨테이너벽을 쌓아만든 저지선부터 서울 시청앞에 이르기까지 도로를 가득 메운 시민들이 촛불을 치켜든 채 ‘쇠고기 전면 재협상, 타도 독재정권’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