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기록물 유출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부(부장 구본진)는 2일 검사 2명과 수사관 5명을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보내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 사저에서 사용하다 기록원에 반납한 하드디스크 14개의 사본에 대한 분석 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분석 대상이 되는 14개의 하드디스크 사본 가운데 7개는 확인되지 않은 이유로 인해 전혀 인식 불가능한 상태이고, 분석에 들어간 7개의 경우도 애초 계획과 달리 임시로 구축한 이(e)지원 시스템에서 인식이 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보게 됐다”며 “수사가 다소 늦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은 전문가와 함께 이지원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 자료가 읽히지 않는 원인을 찾고 있지만 아직 밝히지 못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쪽도 국가기록원에서 지난주 진행된 하드디스크 이미징(복사) 작업과 이날 시작된 검찰의 분석 작업을 참관하고 있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이 최근 국가기록원에 반환한 하드디스크 파일과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던 파일에 부여된 32자리 고유식별번호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노 전 대통령 쪽이 반환한 자료 가운데 유출된 부분은 없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