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민 파문 확산
업계 “긴급회수 체계 수립”
정부는 멜라민 사태와 관련해 ‘위해 우려식품’에 대한 전수검사를 벌이기로 했다.
정부는 2일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수입식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위해 우려식품’을 전수검사하는 방안을 뼈대로 하는 멜라민 검출 관련 대책을 발표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위해 우려 수입식품에 대한 검사비율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100%까지 검사를 확대해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멜라민 관련제품을 최대한 신속하게 수거하는 한편, 중국 현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에 대한 위생점검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관련 식품 업체들은 긴급 회수 체계를 수립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식품공업협회 시이오(CEO) 특별위원회는 이날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제2차 식품 시이오 특별위원회’를 열어 발표한 대국민 사과 성명에서 △각 회원사의 대리점과 대형 유통업체 등 유통망을 활용한 긴급회수 체계를 수립하고 △외국 현지공장이나 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의 수입 제품 사전관리를 위한 정부공인 민간검사기관을 현지에 설립해 검사업무를 철저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일 뉴질랜드 타투아협동조합의 락토페린으로 생산된 남양유업㈜ 6종, 파스퇴르유업㈜ 12종, 일동후디스 11종, 매일유업11종 등 이유식 40종 가운데, 지금까지 검사를 마친 39종에선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익림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