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한국진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와 민주노총, 야당인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 범야권의 대표자들이 9일 오후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민주주의와 민생을 위한 새로운 연대기구’(가칭 민민연) 구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민주주의·민생 위기 빠져”…25일‘민민련’출범 준비위 발족
시민·사회단체와 노동계, 야당을 망라해 ‘촛불 정신’을 계승하는 연대기구가 출범한다.
참여연대·한국진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와 민주노총, 야당인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 범야권의 대표자들은 9일 오후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민주주의와 민생을 위한 새로운 연대기구’(가칭 민민연)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촛불 이후’ 진로를 모색해 온 시민·사회 세력과 촛불 집회에서 새로운 변화의 동력으로 떠오른 누리꾼들, 나아가 범야 정치권이 공동 전선을 꾸린 것이다.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이명박 정부의 ‘촛불 탄압’은 결국 민주주의 위기와 민생 파탄으로 직결된다는 위기 의식에서 연대기구 논의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등 시민사회 원로들이 “각 사회단체가 폭넓게 참여하는 조직화된 협의기구 구성”을 제안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비상시국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명박 정권 출범 이후 민주주의와 민생이 총체적인 위기에 빠져 있다”며 “새로운 연대기구의 출범은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동자·농민·누리꾼·지식인·정당 등 모든 세력의 결집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정당과의 연대에 대해서는 “(민민련은) 가장 폭넓은 연대를 한다는 원칙에 따른다”고 전제한 뒤 “기존 정당의 공식 참여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참관인 등 다양한 방식의 연대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조한국당은 이날 시국회의에 대표자를 보냈지만 공식 참여 여부는 불투명하다.
시국회의는 민민연의 활동 목표에 대해 “큰 틀에서 민주주의와 민생에 대한 대안적 정책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국회의는 25일 수백여 단체가 참가 의사를 밝힌 ‘민민연 준비위원회’를 발족하는 한편, 시민들과 함께하는 ‘민주주의 페스티벌’을 열 계획이다. 박원석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상황실장은 “종부세 완화, 시장중심의 교육정책, 언론 탄압 등에 대해 공동 전선을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대와 결집’이 얼마나 동력을 얻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아직 준비 단계이긴 하지만, 민민연 참여 단체들 사이에선 ‘반독재 국민전선’에서부터 ‘느슨한 연대 기구’까지 성격을 둘러싼 시각차가 큰 상태다. 기존 야당과의 관계 설정도 뚜렷하지 않다. 한 시국회의 참석자는 “특히 민주당 참여를 놓고 아직 여러 단체에서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며 “준비위에서 각 정당이 어떤 위상으로 참여할지를 놓고 다시 한 번 논쟁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민연 출범 논의를 주도해 온 한 시민단체 간부는 “6월 항쟁을 주도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 당시와 지금 시민사회의 위상은 다르지만, 지방선거와 총선 등에서 정치 상황 변화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노현웅 권오성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