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이용 최소화 등 대책 필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팀의 연구 부정 뒤 3년 만에 다른 연구진이 재개하겠다고 한 ‘체세포 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승인이 보류됐다. 연구에 필요한 난자 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등이 미비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위원장 노재경 연세대 의대 교수)는 5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비공개로 차병원이 신청한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심의했으나 “연구계획서에 미비점이 많아 수정 보완한 뒤 재심의하도록 의결했다”고 보건복지가족부가 밝혔다.
생명윤리심의위는 우선 ‘체세포 복제배아를 만드는 데 필요한 난자 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차병원 연구팀은 연구계획서에서 ‘불임시술에서 쓰고 남은 냉동난자나 미성숙난자 1천개를 써 복제배아 줄기세포 5개를 확립하겠다’고 했으나, 사용하는 난자 수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김강립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앞으로 이 연구가 다른 연구의 기준이 될텐데, 이처럼 많은 난자를 쓰는 걸 허용하면 난자를 구하는 과정 등에서 윤리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논란이 일 전망이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한 줄기세포 연구자는 “우리나라는 물론 다른 나라 사례에서도 냉동난자 등에서 체세포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만든 적이 없다”며 “두 달 안에 난자 사용을 최소화할 방안을 만들기는 어려운 것 아니냐”고 말했다.
생명윤리심의위는 △연구 제목이 난치성 질환의 치료 등 과도한 기대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수정이 필요하고 △불임시술용인 난자를 연구 목적으로 쓸 때 환자의 재동의가 필요하며 △연구 윤리를 준수하는지 감시할 병원 안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윤리계 인사 등을 포함해 확대 개편할 것 등도 지적했다. 생명윤리위는 차병원 연구팀이 미비점을 보완해 계획서를 다시 내면 두세 달 뒤 승인 여부를 심사하겠다고 밝혔다.
체세포 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싸고 그동안 종교·생명윤리학계는 ‘인간복제가 나타날 수 있고 난자 등을 쓸 때 인간의 존엄성이 침해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의학·과학계는 ‘우리나라가 이 분야 기술이 앞서 있고, 영국 등도 연구를 하고 있다’며 허용해야 한다고 맞서며 격론을 벌여 왔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