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은 공적없어” 1978년 보고서
보훈처, 기념사업회 발족 강행
보훈처, 기념사업회 발족 강행
한국전쟁 직후 일본의 침탈에 맞서 자발적으로 독도를 지켰던 독도의용수비대원 가운데 공적이 없는 ‘가짜’가 섞여 있음을 보여주는 문건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독도의용수비대에 대한 진실규명 활동을 벌여 온 독도수호대는 5일 “1978년 경북도경이 작성한 ‘청원서 사실조사 보고’를 보면, 지난 2005년 제정된 독도의용수비대 지원법에 따라 예우를 받고 있는 독도의용수비대원 33명 가운데 최소한 6명이 독도를 지키는 데 어떤 활동도 하지 않은 인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독도수호대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입수한 이 문건은 1977년 독도수비대장 홍순칠(작고)씨가 ‘독도수비에 공적이 있는 33명을 포상해 달라’며 총무처장관 앞으로 보낸 청원서에 대해, 경북도경이 현지 실사를 벌여 1978년 3월30일 내무부장관에게 제출한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독도의용수비대 발족 당시 대장 1명, 총무 1명, 경비대원 14명 등 16명이 근무했으며 나머지 17명 중 11명은 배를 공급하는 등 독도수비에 공적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나, 박아무개씨 등 6명에 대해서는 ‘독도수비에 관여한 사실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보고서는 “(독도의용수비대가 활동을 벌이던 1955년) 김아무개씨 등 4명은 부산, 울릉도 도동, (경북) 청송 등에 살았고, 정아무개씨와 박아무개씨는 각각 자재 운반선을 따라 독도를 2차례 왕래하거나 수비대원들을 위해 식사·부식 등을 마련해 준 일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독도수호대는 지난 2000년부터 독도의용수비대원에 대한 진실 규명을 촉구해왔고, 감사원도 2007년 4월 “대상자들에 대한 공적을 재조사하라”고 통보한 바 있다. 그러나 보훈처는 지난 3일 의용대원 33명 모두를 대상으로 독도의용수비대 기념사업회 발족을 강행했다.
보훈처 관계자는 “진위 논란은 있지만 이를 확정지을 소명자료가 부족해 지금까지 인정된 모든 분들을 대상으로 기념사업회를 출범하게 됐다”고 말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