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에 한강운하 사업비 152억원을 편성해 시회의에 승인을 요청하자, 환경단체가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추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경인운하 들머리인 강서구 개화동부터 서울 용산까지 뱃길을 잇는 한강운하 사업으로 양화대교 구조 변경 공사비 120억원 등 152억원을 추경예산에 편성해 지난 6일 시의회에 승인을 요청했다. 시는 “경인운하와 연계해 경제를 활성화하려고 조기착공비 등을 반영했다”고 의회에 보고했다.
시는 이미 책정한 예산 10억원 등 올해 모두 162억원을 한강운하 사업에 쓰고, 2016년까지 모두 3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시는 또 12월까지 설계와 환경영향평가를 마치는 한편, 10월에는 양화대교의 구조를 바꾸는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서울환경연합은 “환경영향평가가 마무리되는 12월 이전인 10월에 착공하는 것은 행정절차를 어긴 것”이라며 “공사비 규모가 3천억원인 대형 사업에 대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사회적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동필 서울시 생태계획과장은 15일 “경인운하 폭이 80m로 확정돼 한강 운하와 연결하려면 양화대교 구조를 바꿀 수밖에 없다”며 “유람선이 다니고 있는 구간 바닥을 1m 정도 더 파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환경영향평가는 착공 전에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강운하에 대한 공청회는 없었지만 이를 포함한 한강르네상스 전체 계획에 대해 시민단체 의견은 수렴했다”고 덧붙였다.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