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규 전수석 뇌물공략뒤 권력주변에 돈뭉치 안겨
참여정부 출범 직후부터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감시를 받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로비 행각은, 자신을 감시하던 박정규 전 민정수석도 비껴가지 않았다. 박 회장이 장인태 전 행정자치부 차관 8억원, 정대근 전 농협회장 20억원, 송은복 전 김해시장 5억원, 이광재 민주당 의원 1억여원 등 불법자금을 건넨 시점은 공교롭게도 박 전 수석에게 1억원어치의 백화점 상품권을 건넨 2004년 12월 이후다.
박 회장은 2002년 4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노건평씨의 경남 거제도 부동산을 대부분 사들인데다, 참여정부 초기 자신의 딸이 청와대 국정상황실에 채용되면서 참여정부와의 유착설이 불거졌다. 2002년 대선 당시 노 전 대통령 쪽에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건넨 사실이 드러나 2004년 1월 기소되면서,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라는 꼬리표는 더욱 단단히 따라붙었다.
당시 청와대 민정비서실과 특별감찰반은 노 전 대통령의 최대 후원자로 알려진 박 회장을 ‘대통령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었다. 민정수석은 대통령 친·인척 및 대통령 주변인사들을 관리하는 민정비서실과 사정비서실 업무를 총괄하는 한편, 청와대 인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참여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졌다. 특히 박 회장을 관리·감찰하던 사정비서실 산하 특별감찰반은 박 전 수석의 ‘직할부대’였다.
박 회장은 경남 김해 출신인 박 전 수석을 통해 감시의 눈초리를 무디게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박 회장이 사돈인 김정복 전 중부지방국세청장의 국세청장 후보 인사검증을 잘 봐달라는 부탁과 함께, ‘나에 대한 관리를 느슨하게 해달라’는 취지로 거액의 상품권을 박 전 수석에게 건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참여정부 청와대의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됐기 때문에 박 회장을 참여정부 마지막까지 관리했으며, 중간에 박 회장에 대한 관리가 약해지거나 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남일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